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성정치학의 쟁점들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한국 페미니즘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도전을 해야하는가.

읽는 데 시간이 꽤 걸렸지만 마지막 장을 덮으며 더없는 뿌듯함을 느꼈다. 여성학자 정희진 작가님의 명저 <페미니즘의 도전>이 출간된지 18년 후 나온 책이다.

90년대 중반, 대학에 들어와 '여성학'을 수강했을 때의 충격을 잊지 못한다. 마치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가 빨간약을 먹고 세상의 진실을 깨닫게 되는 순간 같았다.

그만큼 '페미니즘'은 새로운 시각, 새로운 언어였다. 또 뿌리 깊게 이어져 온 성차별과 일상의 소소한 불편함까지 다시 보게 하는 혁명적인 기준점이었다.

그런데 그로부터 거의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에서 '페미니즘', '페미니스트'라는 단어가 혐오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치인이나 연예인이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당당히 말할 수 없는 분위기다. 남성 중심의 권력이나 여성 혐오를 공론화하면 '페미'로 낙인 찍힌다. 심지어 이로 인해 폭행이나 살해 당하기도 하는 비정상적 사회가 요즘이라는 사실이 개탄스럽다.

실제로 나도 지인으로부터(심지어 정치적으로 진보라고 자부하는 사람이었는데도) '너 혹시 페미냐?'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무척 기분이 나빴는데 한편으로는 이게 기분 나쁠 말인가 싶었다. 가부장적인 집안의 셋째딸로 태어나 십대 딸 두 명을 키우는 여성인 내가 페미니스트가 아닐 수가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훌륭한 가이드라인이 되고 있다. 머리말에서처럼 '남성 사회의 질문에 답하지 말고, 그들이 못 알아듣는 새로운언어로 말하자'는표현이 와닿는다.

1부 '페미니즘 논쟁의 재구성'에서는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문제가 되었던 페미니즘적 논쟁을 어떤 시각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 서술했다. 김건희 비판을 미소지니(여성 혐오)로 보는 시각이나 제주에 입국한 예멘 난민들을 잠재적 성범죄자로 취급하는 잘못된 시각, 미투 운동에 대한 내용이 흥미로웠다.

낙태, 성교육, 데이트 폭력, 젠더 문제, 성매매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특히 '주필리아(동물성애)'와 '인터섹스(남녀 성기를 모두 갖고 태어난)'에 대한 내용은 새로웠다. 페미니즘이 단순히 남녀 차별을 논하는 것이 아님을 새삼 다시 느꼈다.

부록으로 수록된 '죽어야 사는 여성들의 인권'은 기지촌 여성 운동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게 했다. 90년대 초반의 윤금이 사건이나 김연자, 문혜림 등의 기지촌 운동가들에 대해 들어는 봤지만 사실 잘 몰랐다. 이번 독서를 계기로 유튜브 등에서 관련 사건들을 찾아보게 되었다.

책의 머리말에 있는 구절을 인용하며 마친다.

- 이 책은 변화하는 현실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당연하게도 이는 젠더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모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적 영역의 의제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을 많은 남성들, 특히 정책 결정자들이 읽었으면 한다. (12 페이지)

- 이 책이 쉽게 읽혀지지 않는, 논쟁의 불씨가 되는 텍스트이기를 바란다. 여성학, 여성 운동은 모든 담론과 마찬가지로 언어의 경합을 통한 생산적인 갈등없이는 진전도 없다. 한국의 여성주의가 나아감 없이 여성의 생존의 목소리가 왜곡되어 미소지니의 타깃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나는 여성의 공부, 다른 언어, 남성 사회가 못 알아듣는 언어가 최고의 저항이라고 생각한다. 남성 사회의질문에 답하지 말고, 그들이 못 알아듣는 새로운 언어로 말하자. (20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