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듣는 소년
루스 오제키 지음, 정해영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읽어보지 못한 독특하고 낯설면서 신기한 소설이다.

줄거리는 단순하다. 열네 살 소년 베니는 일본인 아버지(정확히는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에 주위 사물들이 말하는 것을 듣게 된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물의 말을 듣기 때문에 일상 생활이 힘들어진 베니는 자해를 하면서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

베니의 엄마 아나벨은 미국인이고 싱글맘이다. 엄마 역시 남편의 죽음 후 충격으로 엄청 살이 찌고 집안에 물건을 쌓아두는 '호더'가 된다. 끊임없이 쓸데없는 물건들을 사고 쌓아두며 집은 쓰레기집이 된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후에 겪는 상실감과 고통의 시간들이 지속된다. 베니와 엄마는 끊임없이 상처 받고 좌절하지만 결국에는 희망적인 결말로 끝을 맺는다.

이 소설은 줄거리나 사건을 따라가기 보다 생각의 흐름을 읽는 느낌이다. 챕터별로 주인공 베니와 책이 번갈아가면서 이야기를 주고 받는 것이 독특했다. 책은 전지적 시점으로 모든 캐릭터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베니는 그것에 답하는 형식이다.

이런 서술 방식이 꽤 낯설어서 처음에는 몰입이 쉽지 않았다. 또 중간 중간 스토리와 무관하게 느껴지는 내용들이 있어서 적응이 어려웠다. 하지만 문장은 쉬운 편이라 중반 이후부터누 읽는데 속도가 붙었다.

베니의 아버지가 일본인이라는 것과 엄마 아나벨이 구입한 책에서 선불교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그 책의 저자인 아이콘은 우리 나라나 미국에서 크게 유행했던 '곤도 마리에'가 연상되지만 선불교 승려로 나온다. 저자의 약력을 보니 그 역시도 미국, 일본 혼혈에 선불교 승려라고 한다.

원제 'The book of Form and Emptiness'에서부터 보이지만 그래서인지 명상이나 불교적 인연과 같은 주제로 쓰인 내용이 많다. 어렵거나 심오하지는 않았지만 무척 독특하게 느껴졌다. 인종차별이나 도서관 노숙인, 실업, 대통령 선거 등 미국 사회를 묘사하는 내용도 이 신비로운 주제와 자연스럽게 엮여있어 기억에 남는다.

베니와 애너벨을 도운 것은 엄청난 기적이나 사건이 아니다. 알레프, 코리, 까마귀, 도서관 노숙자들과 같은 작은 인연들이 모여 서로를 도운 것인데, 이는 이들이 서로의 이야기를 잘 듵어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작은 인연들에게 귀 기울이고 서로 돕자. 결국 이 단순하고도 소중한 주제가 이 긴 이야기 끝에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