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이 되는 한국의 산나물 50
이상각 지음 / 아마존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우리 민족은 ‘나물의 민족’이다. 온갖 풀들과 잎들을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하지만 점점 먹을 수 있는 나물의 종류는 줄어만 간다. 이제는 시장을 통해서 구입할 수 있는 것만 먹게 된다. 이 점이 늘 아쉽다. 보는 눈이 없으면 아무리 귀한 ‘나물 재료’가 있어도 그저 ‘잡풀’에 불과하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나물은 대부분 우리가 산과 들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이다. 물론 채취가 가능한 것만 채취를 해야 한다. 함부로 채취하는 것은 절도 행위가 될 수 있다. 채취를 못하더라도 알고 있다면 유용하다. 주인에게 허락받는 것이 가능하면 지나가는 말로라도 의향을 물을 수 있다. 의외로 쉽게 나눔이 가능할 수 있다. 자그마한 땅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여기에 소개된 것들을 심어 키울 수 있겠다.
이 책은 각각의 나물에 대해 4쪽을 할애해서 사진 2장 정도와 나물의 별명, 나물의 특성, 효능, 채취 및 요리법을 제시하고 있다. 내가 가장 유의미하게 본 것은 ‘채취 및 요리법’이다. 같은 나물이라도 채취 시기에 따라 먹을 수도, 먹을 수 없기도 하기 때문이다. 요리법은 대부분 유사하지만 미세하게 다른 차이점을 알려주고 있다. 예를 들어 생각보다 오래 끓여야 하는 것도 있고, 짧게 끓여야 하는 것도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의미있는 배움이 많았다. 우선 채취 시기의 가장 쉬운 기준 알 게 되었다. 바로 ‘꽃이 피기 전까지가 나물채취에 가장 적합한 시기’(12)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꽃 핀 것은 웬만하면 먹지 말라는 뜻이다. 또 하나 데칠 때 소금을 넣는 이유가 ‘색을 푸르게’하기 위한 것만 인줄 알았는데, ‘비타민 C’의 파괴를 줄이는 효과도 있단다.(19) 또 ‘묵나물’의 개념을 알게 되었는데 ‘생나물’의 반대 개념으로 나물을 말린 후 나중에 먹는 나물이란 뜻이다.
이 책에서 아쉬웠던 것은 나물의 꽃사진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이다. 우리 같은 초짜들은 나물을 생김새만으로 구분하기가 너무 어렵니다. 풀들에게 가장 특징적인 것이 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 개정판에는 꽃 사진을 더 많이 실어주기 바란다.
* 참취는 생으로 먹지 않는다.(27)
* 곰취는 곰이 좋아하는 나물이라는 뜻, 잎의 모양이 넓적하게 생겨 마치 곰 발바닥을 닮아 곰취라고 불리어진다.(30)
* 참당귀 한방에서는 옛날 전쟁터에 나가는 남편에게 꼭 돌아오라는 정표로 주었다하여 당귀라고 한다.(49)
* 비비추 잎을 손으로 비벼서 부드럽게 먹는 나물이라고 비비취라 한다.(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