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의 사랑 오늘의 젊은 작가 21
김세희 지음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아 세상에. 이제 김세희 작가님 믿고 읽는 리스트에 저장✨ 이 책 안 읽은 사람 없게 해주세요! 단숨에 읽어버린 <항구의 사랑>.

‘그 시절 우리를 사로잡았던 건 뭐였을까? 아이돌, 팬픽, 그리고 여자를 사랑했던 소녀들. 두고 왔지만 잊은 적 없는 나의 첫사랑 이야기.’

이 소설은 무엇이었다고 꼬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그 때 그 순간 분명하게 존재했던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목포에서 여중 여고를 나온 주인공 준희가 어른이 되어 과거의 기억을 써내려간다. 민선 선배를 사랑하고 팬픽을 읽고 무언가 위대한 사람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던 과거의 준희. 그 모습에서 나는 과거의 나를 본다.

‘스무 살이 되어 들어간 세계는 조금 전까지 내가 몸담았던 세계와 이어 붙일 수 없을 정도로 이질적이었다. (중략) 이제 그 부분까지 포함한 나 자신이 되고 싶다고 생각한다.(53p)’

스무 살 이후의 세계에서는 십대 시절 소녀들의 미친 사랑을 유치한 것으로 치부한다. 그러나 그것은 정말 유치한 것이었는가? 정말 인희의 짧은 머리와 힙합 바지는 그녀 자신의 표현이 아니라 남성적인 외양을 따라한 것에 불과한 것인가? 글쎄. ‘’남자처럼 짧은 머리’라는 표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차린 뒤로 세상이 달라 보이기 시작했다(159p)’는 준희의 말처럼 이 책을 다 읽은 나도 세상이 조금은 달라보인다.

작가의 말에서처럼 이 소설은 어떤 시도다.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도 이 소설은 어떤 시도가 되리라 확신한다. 과거의 나를 이해하려는 시도,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바라보려는 시도, 획일화되지 않으려는 시도.

특히 나의 여자 친구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백을 채워라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라노 게이치로의 <공백을 채워라>. 그의 책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아 나와는 연이 없는 작가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만나게 되었다.

이 책은 주인공 쓰치야 데쓰오가 죽은지 3년만에 살아돌아오면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데쓰오는 3년 전 자기 죽음의 이유를 밝히려 함과 동시에 자신이 죽어있었던 3년 동안 생긴 관계의 구멍을 메우려 한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환생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이 남긴 공백에 주목하고 있다.

첫 400페이지까지는 술술 넘어간다. 전반부는 ‘데쓰오는 어떻게 죽었는가’라는 미스테리를 푸는데 할애된다. 하지만 이 책의 포인트는 데쓰오가 자신이 어떻게 죽었는지를 깨닫게 된 이후에 있다. 미스테리 소설인줄 알았는데 제법 심오한 성찰을 담고 있는 소설이었다. 그래서 좋았다. (이하 스포)

가장 흥미로웠고 내게 도움이 되었던 부분은 ‘분인’ 이야기였다. 인간은 하나의 정체성만을 가지지 않고 누구를 만나 어떤 상황에 처하느냐에 따라 다른 여러개의 모습(‘분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인물의 말을 빌려 혼자일 때조차 그 전에 관계했던 사람과의 분인의 흔적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그러니 아내와 있을 때의 다쓰오, 아이와 있을 때의 다쓰오, 직장에서의 다쓰오는 제각각 다른 모습이지만 결국 다 다쓰오 자신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분인이 다른 분인을 용납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삶의 의미를 부정하는 나를 없애고 싶었던’ 다쓰오 역시 그런 경우였다. 죽애고 싶었던게 아니라 없애고 싶었다고. 이게 어떤 마음인지 너무 잘 알기에 다쓰오 이야기가 남일 같지 않았다. ‘죽고 싶은 건 아니지만 사라지고 싶다, 한심한 나를 죽이고 싶은 건 아니지만 없애고 싶다’와 같은 생각은 매일 그 빈도가 다를 뿐 항상 하는 나이기에 더욱.

이 책은 죽음보다 삶이 낫다는 식의 주장을 펼치지는 않지만 대신 ‘죽음 뒤에도 살아남는 것’에 이야기한다. 유전자, 기억 그런 것들. 그러나 꼭 무언가가 남아도 남지 않아도.. 모든 존재는 살고 또 죽는다.

의외의 발견. 기대없이 읽은 책이 생각보다 좋을 때의 기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니, 내가 남자를 죽였어
오인칸 브레이스웨이트 지음, 강승희 옮김 / 천문장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가 옳았다. 어느 쪽이든 한 쪽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나의 운명은 이미 오래전에 정해졌다. 나는 언제나 그녀 곁에 있을 것이고, 그녀는 언제나 내 곁에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254p)’

예상대로 재미있었다. 위트있고 간결한 스릴러! 동생은 남자를 죽인다. 이유? 글쎄. 그냥 죽일 수 있으니까 죽인다. 어쩌면 아름다운 외모의 자신을 상품으로 보는 이들에 대한 복수같다. 간호사인 언니는 동생의 편에서 사후 처리를 돕는다. 언니에게 동생은 가족이고 곧 그녀 자신이다. 우월한 미모의 동생에게 질투도 분명 느끼지만, 권위주의적이고 성차별적인 아버지 아래서 함께 살아남았다는 연대가 그들 자매를 하나로 만든다. 결국 언니와 동생은 하나이고 함께이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해서 더욱 좋았다! 여자가 일을 하는데 이유가 필요한가? 아니, 아니, 아니! 작가가 나이지리아의 여성 작가이며 이게 첫 작품이라는 사실도 끝내주게 좋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낌을 팝니다 - 사회학자의 오롯한 일인 생활법
우에노 지즈코 지음, 나일등 옮김 / 마음산책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

‘싱글 생활의 최대 장점은 혼자서 시간과 공간을 컨트롤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하든지 누구에게 허가받을 필요가 없고, 신경쓸 필요도 없다. 특히 여자의 경우에 이것은 중요하다. 여자는 타인과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할 때, 자기 자신보다 남의 기분이나 상황을 먼저 고려하는 생활 습관이 어려서부터 몸에 배어있기 때문이다. 아마 남자들은 이런 느낌은 알지 못할 것이다. 자기가 하고싶은 일에 대해 아내 눈치를 보거나 허락받는 생활 습관이 있는 남자들은 좀처럼 만나기 쉽지 않다.(198p)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는 책으로 국내에 널리 알려진 사회학자 우에노 지즈코의 에세이 <느낌을 팝니다>를 읽었다. 그녀가 쓴 사회학 책을 읽을 때는 전공 분야를 다룬 책인 만큼 딱딱하고 분석적이라는 느낌이 있었는데(마치 논문 읽을 때처럼.. 유익하지만 술술 읽히지 않는 부류의 글), 이 에세이는 그렇지 않다. 이 책에는 그녀의 라이프 스타일과 싱글로 사는 것 등에 대한 짤막한 글들이 모여있는데 콕콕 찌르는 문장도 많고 내용이 참 매력있다. 이는 우에노 지즈코라는 사람이 거짓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적어내려갔기 때문일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들을 담은 에세이인만큼 그녀의 강직한 면모가 돋보인다. 역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이들이 쓴 에세이는 참 매력적이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정한 장소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미셸 포르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저는 우리가 읽었던 모든 글, 그리고 봤던 영화, 그림들까지도 예술적 가치와 상관없이 그것을 기억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이었고 어떤 욕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자신의 역사 속에서 더 멀리 갈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해요.(58p)’

아니 에르노의 인터뷰집. ‘에토스와 존재의 방식, 생각하는 방식조차 달랐던 세계를 지나왔다(71p)’는 고백이 인상적이다. 개인적으로 나 자신은 A-B-A’의 세계를 지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다음이 어디일지 궁금하기도 하고. 아니 에르노의 경우에도 지나온 세계의 간극을 이해하려는 욕망이 글을 쓰게끔 이끈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