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암살자 1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17년 10월
평점 :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할 것이다. 우리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앎을 택하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불구로 만든다. 필요하다면 그것을 위해 손을 불꽃 속에 집어넣기도 한다. 호기심만이 그 동기는 아니다. 사랑 슬픔 또는 절망 또는 증오가 우리를 몰아간다. 우리는 죽은 자들을 가열하게 엿본다. 그들의 편지를 열어 보고 일기장을 읽고 쓰레기를 살펴보고, 우리를 저버린 자들, 우리가 무거운 짐을 혼자 지도록 내버려둔 자들로부터 단서, 마지막 말, 설명을 기대한다. 그 짐은 우리가 추정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비어있는 경우가 허다하다.’(2권, 350-351)
-
2000년에 출간된 마거릿 애트우드의 역사소설. 3중 액자구조로 구성된 방대한 양의 이 소설은 20세기 캐나다의 역사를 관통하고 있다. 팔십의 노인 아이리스의 회고록, 자살로 생을 마감한 그녀의 동생 로라가 쓴 소설 ‘눈먼암살자’ 그리고 ‘눈먼암살자’속 남자가 여자에게 들려주는 소설, 중간중간에 삽입된 신문기사들.
-
아이리스는 살아남아서 말한다. 로라의 책 ‘눈먼암살자’가 그녀의 죽음 뒤에 남은 것처럼 아이리스의 회고록 또한 남아 그녀 삶의 증거가 되어줄 것이다. -
-
하지만 사실 읽기가 수월하지는 않았다. 결말에 다가가기까지 인내심이 필요한 소설이다. 3중 액자 구조는 전체적인 이야기를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하가. 하지만 ‘여기 기록되지 않은 것 또한 하나의 존재다. 빛의 부재처럼(2권,195)’이라는 아이리스의 말처럼 그녀 회고록에 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눈먼암살자’와 신문기사들을 끼워넣은 것은 상당히 영리했다.
-
방대한 이야기여서 끝내는데 급급해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아이리스의 회고록-목소리-시선’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읽었더라면 더 풍부한 감상이 나올 수 있었을텐데. 다만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이 겪어온 삶을 말하는 여성 아이리스의 존재와 후반부에 가서야 밝혀지는 비밀들은 깊은 여운를 남긴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