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와 헤어지는가 - 낭만적 사랑과 결혼이라는 환상에 대하여
켈리 마리아 코르더키 지음, 손영인 옮김 / 오아시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지나치게 감정적인 스스로에게 객관을 부여하고자 고른 책인데 나의 예상과는 조금 다른 책이었다. 하지만 뜻깊었던! <왜 나는 너와 헤어지는가>는 낭만적 사랑과 결혼, 성적 자기 결정권 등에 대한 이야기를 여성 인권의 역사와 함께 짚어나가는 책이다.



오늘날의 자유연애와 결혼이 겨우 18세기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들어도 들어도 충격적이다. 그러나 그때나 지금이나 여성은 관계를 시작하고 끝낼 때 얼마만큼 자유로운가 생각하면 끝없이 아득해진다. 물론 시대가 변화하면서 결혼은 선택이 되었지만 가부장적인 분위기와 결혼에 대한 압박은 여전히 존재한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더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혹은 충분히 행복하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자유가 주어져야 하는가?)



관계도 사랑도 결혼도 다 어렵다. 역시 정답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삶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는 지금은 그 무엇도 정답이 될 수 없을지도 모른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걀과 닭 -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소설집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지음, 배수아 옮김 / 봄날의책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브라질 문학의 거장.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작품이 처음 번역되었다. 강렬한 표지 덕분인지 서가에서 흘끗 본 이후 줄곧 생각이 났다. 몇 페이지를 들춰보았을 때 읽다 포기할 수도 있겠다는 불길한 예감이 들었으나 어쨌든 책이 잘 읽히지 않는 시기이기도 해서 밑져야 본전이라는 생각으로 구매했다.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정말 흥미롭게 읽었다. 혹자는 난해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나에게는 그 난해함이 새로움으로 다가왔고 지나치게 의미를 파악하려고 애쓰지 않으며 그냥 읽었다. 그랬더니 꽤 재미있던걸. 기묘하고 잡생각이 많고 어딘가 뒤틀린 것도 같은 주인공들과 그들의 내면을 듣는 것이 꽤 쏠쏠했다. 무엇보다 어떤 문학작품에서도 읽어보지 못했던 표현들이 나를 신나게 만들었다. ‘오, 이런 표현은 제법 괜찮은데?‘와 같은 생각을 하며 책 귀퉁이에 메모를 휘갈겼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이 읽고싶다. 어느 시기에 이르자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작품만을 읽고 있었다는 배수아 역자의 말처럼 나도 그런 자신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충분히 매력있다. 남미의 버지니아 울프라거나 남미의 제임스 조이스라는 칭호 없이, 그냥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그 자체로!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튼, 문구 - 나는 작은 문구들의 힘을 믿는다 아무튼 시리즈 22
김규림 지음 / 위고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구인이라기에는 조금 부끄럽지만, 미도리 사의 MD노트와 트래블러스 노트, 만년필을 수년째(그리고 앞으로도) 애용해오고있는 사람으로써 이 책을 지나칠 수가 없었다. 게다가 나는 손으로 쓰는 일이 좋고 아날로그가 좋다! 문구가 좋다!



역시 모든 일은 덕잘알이라고 문구인이 쓴 문구에 대한 에세이라니 연신 밑줄을 긋고 고개를 끄덕이며 읽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저도요! 크흐 저자가 같은 문구를 쟁여둔다는 일화와 직접 노트를 만들어 썼다는 일화를 읽을 때는 무릎을 탁 쳤다. 그래 이거다!



갑자기 새 만년필이 너무 사고싶다. 진짜로.



덧. 함께 제공되는 겉표지 스티거 귀엽다! 득템!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당신의 손을 보여줘요
알렉상드르 타로 지음, 백선희 옮김 / 풍월당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콘서트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르 타로의 에세이. 클알못이지만 서점에서 첫페이지를 읽고 도저히 그냥 두고 올 수가 없어서 데려왔다. 예술이라면, 예술가의 이야기라면, 나는 예술에 대해서 아는 것이 하나도 없지만, 항상 궁금해하는 편이니까. 타로의 에세이는 한 편의 음악같고 시같았다.



이 에세이를 읽으면서 타로의 연주를 찾아들었다. 쏟아져내리는 감정을 어쩌지 못하겠다. 나에게 연극 뮤지컬 공연이 환상이라면 클래식 공연은 현실에 발붙인 공상에 가깝다. 내가 짓는 이야기, 내가 짓는 감정이 음악의 선율과 합쳐져 나를 완전히 뒤흔들어놓기 때문에, 때로 클래식 공연은 내게 그 어떤 공연보다 위험하다. 지나치게 감정적인 상태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음악을 예술을 공연을 사랑하는 이라면, 문학과 글과 문장을 사랑하는 이라면 어떻게 이 책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아하는 게 너무 많아도 좋아 - 성덕의 자족충만 생활기
조영주 지음 / Lik-it(라이킷)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영주 작가의 ‘덕후 라이프‘ 에세이. 나 또한 책과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어서인지 재미있게 읽었다. 때로는 너무 솔직해서 뒷걸음질쳤고 때로는 너무 공감이 되어 웃고 울었다. 글을 읽으며 남들이 뭐라든 결과가 어떻든 하고 싶은 일을 하자,는 생각을 가장 많이 했다. 그래야 뭐든 후회가 없으니까.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