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초판. 2년 전 책이지만 지금 읽어도 적절하다 싶을 정도로 유효한 고민을 담고 있다. 다른 인터뷰 모음집들과 다르게 아홉명의 저자가 각각의 에피소드를 직접 써내고 있는데 각양각색의 인물, 각양각색의 접근법으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점이 인상적. 충청도 괴산에 자리잡은 유기농 펑크 뮤지션 사이는 생태근본주의를 실천하면서 괴산페스티벌을 만들고 선언문을 발표한다. `돈이 아니라 사람이 주인인 축제`를 표방하는 이 축제는 `거대한 자본이 아니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고 말하며 `불편함을 재료로 멋진 놀이를 만들겠다`고. 사람을 모으고 사건을 만들고 신념을 증명해내는 모습을 보면서 좀 설렜다. 강원도 화천의 배요섭은 화천에서 극단 동료들과 시골마을 예술텃밭을 운영하며 마을 사람들과의 공동작업을 구체화 한다. 극단 구성원들의 고민, 지역에서의 삶, 연극이라는 장르, 예술의 기능. 온갖 고민들을 말 그대로 온 몸으로 밀고 나가는 모습은 자못 장엄하고 경건하다. 강원 속초의 번역가 김승완이 들려주는 서울 밖에서 번역일을 한다는 것의 의미, 번역 팁을 확인하는 재미도 쏠쏠. 경북 포항의 한동대 교수인 이국운은 아내의 삶과 견주어 자신의 로컬리티를 고백한다. 고백은 서로주체와 홀로주체의 철학으로까지 나아간다. 책의 부제는 `3040 지식노동자들 피로도시 탈출`이지만 책을 읽고 나니 `피로 도시 탈출`이 서울이나 중심에 대한 피로--강박의 탈출로 읽혀진다. 다만 글의 내용이 고르지 못한 점은 조금 아쉬운 지점. 에필로그의 이미지 컷에 비해 에필로그가 약한 것도 조금 걸리네. 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