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콜드 블러드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트루먼 카포티 지음, 박현주 옮김 / 시공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완벽하고 완전한 집안의 본받을 만한 사람들과 오랜 유년의 불우한 생활을 견디며 살아 낸 두 남자. 그리고 일어나는 끔찍한 살인. 살인. 살인.

 

분명, 엽기적인 가족 몰살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왜 읽는 내내 뭔지 모를 우울함이 밀려오는 걸까? 그것도 살해당한 가족에 대한 감정이 아닌 범죄자들에 대한 그래, 페리.. 그 페리라는 청년이 자꾸만 마음에 남는다. 타인의 관심을 받고 싶어 하는 성격이나 잔인한 냉혈한에게서 나올 것 같지 않은 섬세함. 그리고 어디에서 부턴지 촉촉히 젖어 있을 것 같은 그의 여린 감수성 말이다. 작가 카포티가 페리에게 끌리는 면이 있었다고 하니 조금쯤 애정을 가지고 인물을 그려 넣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영화 카포티의 한 장면에서 페리 스미스를 사랑했느냐고 묻는 하퍼리의 질문에 대한 카포티의 대답은 이러하다페리와 나는 어렸을 때부터 같은 집에서 자란 것 같았어. 그런데 어느 순간 나는 앞문으로 그는 뒷문으로 나간 것 같았지…”

 

생각해보면 나의 이런 감정은 작가의 구성기법 때문은 아닐까 생각된다. 보통 다른 추리소설을 보자면 범인을 철저히 숨기고 극적인 순간에 드러나게 만드는 반면 카포티는 각각의 챕터를 엇갈리면서 범죄자들의 행동과 생각, 그들의 심리상태를 자세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물론 모두가 알고 있는 실제 사건의 범죄자들이기 때문에 여느 추리소설처럼 범인을 숨기는 트릭따위는 쓸 필요가 없었겠지만, 우리가 범죄자들에 이입되게 하는 그러한 기법이 페리나 딕에 대한 강한 연민을 부추겼음은 틀림없다. 어쨌건, 때문에 스톡홀롬 증후군을 떨쳐내기란 좀처럼 쉽지 않았으며 인간의 유년 시절과 부모들의 애정이 인간을, 인간이 가고자 하는 길을 어떻게 좌지우지 할 수 있는가를 볼 수 있기도 했다. 스톡홀롬 증후군을 떠나고, 이제 범죄자들에 대한 연민을 지나서 마치 픽션 같은 논픽션 인 인 콜드 블러드에서 몇 가지 섬뜩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평화로운 시골마을에서 그런 엽기적인 살인이 일어나고 난 후, 문도 잠그지 않고 생활하던 사람들은 조금씩 공포를 느끼고 바뀌어 간다.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고 공포는 점점 그들의 열려있던 문으로 들어와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만다. 경악은 절망으로 이어지고 개인적인 두려움은 차가운 샘처럼 솟아나 공포에 가까운 감각으로 급속도로 깊어졌다. 평화와 행복, 그리고 인간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공포의 안개로 바뀌어 가는 마을과 사람들의 모습이 눈 앞에 그려지는 듯 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운명에 관한 것. 운명이라는 놈을 믿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는 늘 고민거리이다. 특히 페리와 딕이 도주 중 다른 범행을 저지르고자 히치 하이킹을 하며 차를 태워주는 자를 죽이고 돈을 뺏으려 모의한다. 운명의 길이 깔린 야생의 고속도로. 저 앞에서 돈이 많아 보이는 대머리의 마른 남자가 혼사서 파란색 닷지 세단을 타고 서서히 속도를 줄인다. 그러나 그들의 행색을 보고 어딘지 미심쩍었던 남자는 엔진을 힘껏 밟아 그들을 지나친다. 차는 앞으로 가며 속도를 올렸다. ……딕이 소리쳤다. 너 이 자식 운 좋은 줄 알아! 그리고 결과적으로 감방에서 딕에게 범행 동기를 부여했던 웰스의 말 내가 그런 (나쁜)짓을 안 했다면 (감방에서)딕을 만나지도 않았을 거고, 클러터 씨가 지금 무덤에 있지도 않았을 거예요. 아무렇지도 않은 그 몇 줄의 이야기들이 운명이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참으로 절묘하게 목숨을 부지한 그 남자. 그리고 차 안의 사람이 나나 당신이었을 수도 있다는 얘기, 또한 운명이라는 놈이 이리저리 몸을 부대며 끔찍한 나비효과를 이끌고 다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과 의구심.

 

카포티는 범행과정과 체포뿐만이 아니라 여러 번의 재판이 시작되고 사형을 언도 받을 때까지 그리고 그들의 영혼이 지옥의 어디쯤으로 떨어지기까지의 일들을 모두 이야기 하고 있다. , 그런데 제기랄, 나는 왜 순박하고 착한 클리터씨가족이 아닌, 그리도 냉혹하고 더러웠던 살인마들, 딕과 페리가 자꾸만 눈에 아른 거리는 것일까? 피해자들을 세심히 챙겼던 모습이나, 서로가 떨어질 수 없는 심약한 샴 쌍둥이 같았던 그들의 모습, 가난한 소년과 아픈 할아버지를 태워주고, 소년과 함께 빈 병을 주우며 동심으로 돌아간 듯한 모습 등... 그리고 무엇보다 마지막 사형을 언도 받은 직후 서로를 바라보며 농을 치고 환하게 웃었다는 그들의 얼굴(당시 신문에 그 사진이 났다던데)이 궁금해서 미칠 것 같다.

 

헌데,, 이런 내가 정말 정상인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