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만과 문명, 누가 살아남을 것인가?
잭 웨더포드 지음, 권루시안(권국성) 옮김 / 이론과실천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 인간속의 야만은 결코 제대로 근절되지 않았다
언젠가 천장단의 사진을 본적이 있다. 황량한 티벳의 고원 위에 흩뿌려진 인골과 발길에 채이는 무수한 뼈들. 그리고 시체 주위로 새까맣게 몰려드는 거대한 독수리의 무리.
느릿느릿 조각난 시체사이를 걸어다니며 죽은 자의 살을 발라 먹고 유유히 사라지는 모습.
나는 그 때의 경험을 잊지 못한다.
죽은자를 받아 들인채 거대한 날개짓으로 멀리 사라지던 독수리들의 희미한 울음이,
그 서글픈 노래같던 울음이 내내 귓전에서 멈추지 않았다.
죽은 자의 영혼을 새를 통해 하늘로 올려보내 다른 생으로 살아나게 한다는 티벳인들의 윤회관을
보여주는 장례의식이 바로 천장(天葬)이다. 소위 문명의 옷을 입은 자들은 이들의 장례의식을 본다면
아마도 혐오스러워 하리라. 야만스러운 일로 치부해버릴 수 있는 상황이... 그러나 내가 본 그것은 차라리 거룩하기까지 했다.
이 고귀한 의식을 두고 야만이라 부를 수 있을까? 그것을 혐오로 치부해 버리는 우리는 문명이고?
문명과 야만의 경계란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 나는 이 작은 순간의 경험 하나만으로도 알 수 있었다.
저자는 전 세계의 오지와 도시들을 오가며 문명과 야만의 모습을 이야기한다. 다른 인류학 서적이나
오래된 고서처럼 딱딱하고 건조한 문체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아닌, 마치 옛날 이야기를 조용히 들려주는 할머니의 모습을 연상시키기 족하다. 저자가 답사한 곳의 이야기와 자신의 상황을 조금씩 들려주며
어색하지 않게 역사의 이야기로 넘어가고 다시 문명과 야만의 집합소로 우리를 초대한다.
각설탕이 흔적도 없이 물에 스며들듯 말이다. 그리고 이쯤에서 우리는 저자가 준비해 준 달콤한 설탕물을 마시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사막의 애버리진을 이야기하고 방랑의 자유를 잃어버린 인간과 대초원을 누비는 유목민을 이야기하며
여러 부족문화와 다양성의 기원을 보여준다. 그리고 인류 역사상 가장 악질적 무역인 노예제도 까지!
인간의 문명은 수 많은 부족들을 침략하고 약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노예주는 문명이고 노예는 야만인 것인가? 인간의 목에 쇠사슬을 걸어 종속시키고 향수와 만찬으로 사교계를 유지하는 인간들은 자신들을 문명이라 부른다. 그러나 종속된 자의 눈에도 과연 그들이 문명으로 보일 것인가?
어처구니 없지만 1990년대에 와서도 수단의 작은 마을에서는 아직도 시장에서 아이들을 사고파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문화에는 저마다 문명이 있다
"문명은 영원한 진퇴유곡에 빠져있다. 도시인의 문명은 살아남기 위해 부족민의 가치관을 필요로한다.
그렇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문명화한 도회 생활은 접축이 있을때마다 언제나 부족민을 파괴한다"
내 집을 사이에 두고, 한쪽은 현대적인 황금의 길이고 다른 한쪽은 숲과 동물들로 가득한 길이 있다.
그러나 어느쪽이 가치있는 길인가를 명확히 말할 수 있는 자들이 얼마나 될까?
단언컨데 저자의 말대로 문명은 영원한 진퇴유곡에 빠져있다.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하지만 그 필요의 순간이 지나고 나면 약자는 철저하게 파괴되고 말기 때문이다.
문화적인 문제는 참으로 어렵고 답이 없다. 알렉산드로스의 제국과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제국. 이 두 개의 정부가 얼마나 이질적인가를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알렉산드로의 제국을 제압한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제국이 전세계의 현대적인 국민주의 시대를 열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문화에는 저마다 문명이 있다. 하찮은 부족집단의 문화에도, 현대적인 도시의 문화에도, 침략을 당한 알렉산드로의 문화에도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문화에도 저마다의 문명을 지닌다.
또한 저자가 보여주고 있는 수 많은 문명과 문화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동양을 향해 태평양을 건너는 마젤란, 한때는 아름다운 자연으로 지상낙원이었으나 지금은 석유에 의존해 살아가는 이라크의 모습 등, 그러나 역시 소모와 파괴라는 낭비적인 습관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것이 문명이라는 놈임은 확실하다.
@ 우리는 우리문명이 자오선 가까이 다다랐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새벽별이 떠오르고 새벽닭이 우는 시각에 와 있을 뿐이다
우리가 야만이라 부르는 것들이 낭만으로 치부되고 있다. 리스트의 헝가리 광시곡이나 오페라 카프멘,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글들과 고갱의 삶 조차 그러하며 그외 수많은 곳에서 민족집단과 원주민은 이제 낭만으로 남아있다. 사람들은 원주민의 문화를 바라볼때 자신이 보고 싶어 하는 대로 본다. 그러나 "원주민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상관없이 그런 시선 속에서는 원주민 보다 우리 자신이 더 잘 드러나는 때가 많다"
식민시대와 인종차별주의 그리고 대규모 학살과 숙청등은 원주민의 그것보다 나은 것일까? 수 많은 전염병과 폭력 그리고 과학기술로 인해 어두워진 현대의 그림자는 저 먼 원시시대의 모습보다 역겹기 그지없다. 하와이 오아후섬에 자리잡고 있는 <폴리네시아 문화센터>는 문명이라는 것이 얼마나 야만적인가에 대한 그 극명함을 보여준다.
수많은 관람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은 마오리 여자들이 춤을 추고 남자들은 원주민 특유의 행동을 보여준다. 관람객들은 웃음과 박수로 그들을 맞이하고 문명속 원시인의 모습은 문명의 이름을 쓴 야만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
그 문명을 위한 연극들 중 압권인 것은 이것이다. 관람객은 질문을 하고 원주민의 모습을 한 자는 대답을 한다. 이것은 그들 고유의 업무가운데 극히 일부부이다.
"지금도 집에서 돼지를 구덩이에 놓고 요리하나요?"
"특별한 경우에만 그렇게 합니다"
"그럼 보통때에는 어떻게 요리하죠?"
"엄마는 스토브를 쓰고 저는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려버리죠"
일동 포복절도.
슬프다. 가슴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직접 눈으로 보지 않았다 해도 쓴웃음이 나는 건 어쩔수 없다.
문명은 위기를 맞았다. 야만을 비웃고 약탈하여 문명으로 만들어 버리고자 온 힘을 쏟았던 문명조차도 위기에 봉착하고 만것이다. 폐허가된 마야, 약스칠란의 황량한 거리, 몰락한 그리스의 도시들! 그리고 우리의 문명이 얼마나 덧없이 사라져 버릴 것인지를 보여주는 수많은 도시와 문명들! 역사를 통틀어 문명은 연이어 무너져 내렸다. 문명을 자신하고 자부심에 사로잡혔던 도시와 사람들은 문명의 승리감에 되취되어 자신들의 몰락을 잊고 있는 것이다.
어떤 한 문명이 영원히 지속될 순 없다. 무서운 일이지만 어느순간 우리의 문명은 스스로 이룬 성공에 의한 희생자가 되어 버릴 것이다.
야만과 문명, 과연 누가 살아남을 것인가.....
"....... 그러다가 갑자기 도시가 죽어 버렸다, 그리고 문명 전체가 사라지고, 폐허가 된 몇몇 건물과 옛 무덤과 쓰레기 더미 속에 몇몇 유물만이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