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학과 인류학자들 - 영국 사회인류학의 전통과 발전 ㅣ 호모사피엔스
애덤 쿠퍼 지음, 박자영.박순영 옮김 / 한길사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의 유명한 인류학자 애덤 쿠퍼의 역시 유명한 책이 번역되어 나왔다. 이 책은 1973년에 영국에서 초판이 나와서 지금까지 두 번 판갈이(?)를 했다. 원서가 워낙 정평이 나 있는데다가 제인 구달의 번역으로 알려져 있는 박순영 교수의 번역 또한 신뢰할 만 하다. 그래서 일단 별 네 개는 준다. 그렇지만 역자도 쓰고 있듯이, 인류학을 컴팩트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문외한이 이 책에서 커다란 앎과 깨달음의 즐거움을 기대하긴 어렵지 않을까 싶다. 부제가 보여주는 것처럼, 이 책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인류학'이라는 분과학문이 성립한 이래 그 이름으로 답파된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는 책(그런 책이 있다면 초인적으로 글을 조직해 내는 능력을 가진 저자를 만나지 않는 한 십중팔구 정말 따분할 것이다)이 아니라, 영국 인류학의 역사에 국한하여 다루고 있다. 그렇지만 애덤 쿠퍼의 문장이 재치있는 편이고, 전기적인 자료를 풍부하게 끌어오고 있어, 정말 읽을 '만'하다. 결론적으로 번역서가 나와서 기쁘다.
하지만 한길사의 기획력을 별 숫자로 평가하자면 두 개 이상은 주고 싶지 않다. 한길사가 '호모 사피엔스'라는 이름의 시리즈로 책을 낸 것이 이것으로 네 권 째인데, 물론 시리즈가 완결된 것은 아니겠지만 제2권 <금기의 수수께끼>를 제외하고는 세 권 모두가 이런 부류의 인류학사 개설서의 번역이다. 순수히 나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세 권 중에 제일 좋은 것 한 권만 골라서 번역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한다. 세 권이 '시리즈'라는 기획에 걸맞게 모두 다 인류학사 개설서로 일관되게 묶일 수는 있지만, 너무 비엔나 소시지(?)같이 변별점이 없다. 그리고 그 때문에 인류학사 개설서가 아닌 <금기의 수수께끼>가 괜히 뚱금없이 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학부에서 인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런 책들이 나와서 고맙겠지만,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이른바 인류학의 고전으로 분류되는 책들의 번역일 것이다. 또한 독서 대중과 교양인들에게는 '학사'책 보다 좀 더 톡 쏘는 매력이 있는 인류학 책을 발굴 번역하여 소개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호모 사피엔스, 이런 방향으로는 그만 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