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탈, 노후빈곤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선데이마이니치 취재반 지음, 한상덕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탈(脫), 노후빈곤이랬다.

그랬다. 분명 탈(脫)은 벗어난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책 어디에도 노후빈곤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는 찾기 힘들었다.

다만... 노후빈곤은 이런 것이다... 하는 이야기 뿐.


40대에 접어들면서 노후는 절대 먼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 키우면서 교육비와 내집마련으로 대출과 이자를 납부하다보면

정작 내가 늙어 수입원이 사라진 후에 남은 생에는 살아갈 방법이 묘연하다.

이 책은 생활보호 대상자인 일본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본 정부에서 운영중인 각종 연금과 의료보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와 보험상품들을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을 예시로 알려주고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며 조금이라도 노후를 준비할 수 있을 때 꼭 필요한 제도들을 소개한다.

각종 사례들을 통해 본 일본의 노인문제는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예상치 못한 미래에 대해 부족한 준비로 젊은 시절 누리던 삶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것이 단순히 개인의 준비 부족이 아님을 말해준다.


책을 읽는 내내, 노인빈곤에 대해 일본은 현실적으로 바라보는 사람에 의해 이런 책도 씌여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아직도 박스나 폐지를 줍는 노인들을 보면 그 개인의 문제라 생각하는 일이 대부분이고 개인의 가난에 대해 정부에서 책임지려 하지 않는데 말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OECD 국가중 노후 빈곤율이 49.6%로 1위, 증가속도 역시 1위, 노인자살률, 75세 이상 노인고용률 역시 1위로 죽지 못해 일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 현실이라고 한다.

그런데도 노후대책은 정부의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외에 다른 준비가 있는지 그것조차 모르겠다.

현실은 이러한데 노후에 관한 이야기를 하자면 100세 시대로 수명이 늘어났으니 공부하는 노년,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는 삶에 대한 이야기만 즐비하다.

49.6%에 해당하는 빈곤층은 삶의 질이 아니라 '생존'인데도 말이다.


그저 감사하며 살아야겠다. 아직 '준비'할 수 있는 나이에 이같은 책을 만나서.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이제 우리나라, 내 삶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으니. 

53p
이토록 장기화, 고령화된 히키코모리는 이미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로 치부할 수 없다. 확대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최근 20년간 지속된 일본의 경기 침체, 또한 악화하고 있는 고용 환경이 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히키코모리 자식의 고령화가 진전되면 언젠가 노후 파산이 급증할 수 있다.
히키코모리 자식을 가진 가정의 생활 설계를 돕고 있는 파이낸셜 플래너 하마다 유야 씨는 이렇게 말한다.
"일본이라고 하는 나라는 등교 거부, 병, 실업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한번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버리면 ‘낙오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경우가 많아, 다시 시작하기 쉽지 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넓은 독서가 글쓰기의 바탕임을 다시금 느끼게 해 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에게 주는 레시피
공지영 지음, 이장미 그림 / 한겨레출판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위로가 필요한 시대에 엄마의 따뜻한 집밥이 생각나게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할 수 없는 가족이라는 관계. 걱정이 되면서도 외면하고 싶은 엄마가 저를 가장 힘들게 합니다. 남들은 엄마가 되어보니 엄마를 이해하겠다고 하는데 나는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나는 엄마에게 무엇이었나 되돌아보면 사랑받지 못한 나의 어린시절이 불쌍하기도 하구요.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게 부끄럽기도 합니다. 이런 모든 감정들이 불쑥 떠오를 때가 힘들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물푸레나무 > <바른 마음>출간 기념 공개 대담

 

 

진리는 하나이며 어디에든 적용되는 절대선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가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만나면 그 때의 당황스러움과 혼란함은 겪어본 사람이라면 다 알것이다.

핏대세우고 내가 옳다 네가 그르다 따져본들 서로에게 남는 것은 상처뿐, 조목조목 따져가며 이야기를 해봐도

그래 너 잘났다!식의 비난만이 돌아온다.

그저 서로의 다른 입장차이를 확인하고 씁쓸한 입맛을 다신적이 한 두번이었던가.

그럴 때마다 느꼈던 개운치 않음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찾았던 공개대담.

 

이번 지방선거와 관련하여 진보의 도덕성, 직관(때로는 감정의 호소)과 합리적인 토론,

몰도덕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법, 그들과 대화하는 법 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오고 갔다.

그 중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사회자였던 노정태님의 질문이었다.

'진보주의자의 모델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딱히 누구라고 내세울 모델이 있다기보다 이번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의 선거운동과

 조희연 후보를 향한 보수주의자들의 호응, 이러한 흐름들이 진보라고 생각한다는 대답에 노정태님이 다시 답한다.

'나의 질문은 구체적인 모델이 궁금하다는 말이었다. 우리는 보수를 수구세력이나 꼴통 등의

몇가지 단어로 정의하면서도 진보에 대해서는 스스로 어떤 정의를 마련하지 못한 것 같다.'

아! 통렬한 반성이 필요한 시간이었나보다.

 

가슴 뜨끔함과 더불어 이번 선거에서 진보가 이겼다고 할 수 없는 여러 상황에 대해 이야기가 더 오고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희망을 갖게 한 노회찬님의 이야기

'일관적 견해의 정치적 경향이 다른 사람과는 대화가 뜨겁고 날카로울 수 밖에 없다.

그래도 더 많은 토론을 해서 국민 스스로의 의무와 권리를 찾아 권력을 국민에게 이양시켜야 한다.

다르다는 것을 토론을 통해 견주어보며 긍정적으로 수정하고 진화되어 가는 것이 민주화의 과정이다'

 

진보와 보수, 도덕과 직관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도 격해지지 않고 따뜻했던 좋은 시간이었다.

정답을 기대했던 나의 어리석음에 분에 넘치는 현명한 이야기를 들려주신 대담자와

질문으로 참여하신 다른 분들께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