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과학은어렵습니다만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1,2 / 이정모 / 바틀비
서울시립과학관 이정모 관장의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2』가 모르는 사이에 슬쩍 출간되었다. 작년에 나왔던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은 꽤나 화제작이었다. 하지만 제목과 책 내용 사이에 괴리가 컸던 것은 사실이다. 마치 어려운 과학을 쉽게 설명해줄 것 같은 제목이지 않은가?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내용보다는 과학의 쓸모, 과학적 태도, 사회적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것. 이번에도 과연 그러한 내용일 것인가.
사실 작년에 이정모 관장의 모습을 닮은 신나보이는 표지 일러스트와 제목을 보고 책을 고른 사람들이 책을 읽고 나서 당황한 모습을 많이 보았다. 심지어 '일기는 일기장에 쓰시죠..'라는 서평까지 보았는데, 아마도 정치적 현안에 대한 이정모 관장의 생각이나 사회적 참여를 강조하는 모습이 불편해서 그런 것 같다. 두루뭉술하게 말하면 이과를 나온 사람들, 좀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한다면 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사람들은 세상과 관련없이 객관적인 사실을 탐구하는 학자의 모습을 바람직하게 여기며 정치적 발언을 하는 순간 과학자의 순수성이 훼손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도 그럴 수가 있는 것이 우리는 권력에 빌붙어 대량살상무기를 만든 과학자라든지, 포로를 고문한 방법을 연구한 의사들의 예를 어렸을 때부터 들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일단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정치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니까.
하지만 나는 좀 다르게 본다. 사회적이거나 정치에 대한 의견이 없고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경우, 쉽게 외골수가 되거나 정치에 이용당할 수 있다. 사회 현안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면 자신의 생각과 다른 의견도 듣게 되고 이에 대해 반박도 해보고, 그러다보면 자신의 생각을 의심해볼 수도 있고. 결국 다양한 시각에 대한 인식과 함께 자신의 의견 정립도 뚜렷하게 할 수 있게 되지 않겠는가.
과학자에게는 자유로운 자유로운 과학 연구를 위해서 정치적으로 적극 나설 의무가 있습니다. 과학자는 어렵게 얻은 정치적, 경제적 신념을 똑똑히 밝힐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아인슈타인이 에이브러햄 링컨 탄생 130주년에 한 말이다. _『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이정모
아픔이 길이 되려면 / 김승섭 / 동아시아
2012년, 노동자 건강에 대한 연구로는 드물게 <사이언스>에 출판된 이 논문의 제목은 '정부의 작업장 감시활동은 노동자들의 산업재해를 줄이지만 일자리를 축소시키지 않는다' 입니다. 연구 결과는 제목 그대로입니다. 정부의 작업장 안전 감시활동은 사고성 재해 발생을 9.4퍼센트 줄였지만 기업의 생존, 고용, 매출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떤 이는 이 논문을 두고서 정치적이고 편향된 연구라고 할지 모릅니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이 연구는 정치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어떤 사회든 자원의 생산과 배분에 대한 모든 문제는 항상 정치적입니다. 정부의 기업 안전에 대한 감시 문제를 다루는 이 연구는 당연히 정치적인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는 편향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해서 어떻게 분석을 했고 그래서 결과를 어떻게 해석했는지에 대해서 투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자신들의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더불어 한계에 대해서도 명확히 서술하고 있으니까요. _『아픔이 길이 되려면』, 김승섭
<사이언스>에 논문을 낸 의사들은 정치적이지만, 편향되지 않은 논문을 내어 좀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사회에 제시하였다. 결국 과학자들이 논문을 쓰고 연구를 하면서 학문을 발전시키는 목적은 무엇인가. 자신의 학문적 업적을 위해서? 아니면 돈을 벌기 위해서? 그것도 맞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고 그에 앞서 그 학문을 선택한 이유가 있지 않은가. 그 대답을 알고 있다면, 과학자들 또한 정치와 사회에 대해서 발언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이해하리라 믿는다.
아, 하지만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한다.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라는 제목은 과학 교양서에 어울리는 제목이긴 하다.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정도의 제목이면 어떤가.(..으응?) 좀 식상하고 진부한 제목이지만 최소한 이런 느낌이라도 나야 하지 않았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