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가의 일
조성준 지음 / 작가정신 / 2021년 9월
평점 :
매일경제 조성준 기자가 '죽은 예술가의 사회'라는 제목으로 매경프리미엄 칼럼에 3년동안 연재중인 시리즈를 수정 보완한 책이다
책 제목을 보자마자 '예술가의 일이란 무엇일까?' 궁금해졌다
예술가의 사전적 정의는 예술 활동, 곧 예술 작품을 창작하거나 표현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다
그렇다면 예술가의 일은 창의력과 상상력으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것인가?
이 책은 괴짜, 이단아에서 한 시대를 빛낸 아이콘이 되기까지 이름이 곧 예술이 된 예술가 33명의 숨은 이야기를 담고있다
총 6개의 챕터로 나뉘어져 있는데..
1. 경계를 지우고 먼곳으로에서는 화성에서 온 록스타 데이비드 보위 어려운 음악을 듣는 이유 구스타프 말러 이상한 것들의 마법사 다이앤 아버스 천재이면서도 천재만은 아닌 바츨라프 니진스키
2. 우직하게, 천천히, 한 걸음씩에서는 일본이라는 환상의 시작 가쓰시카 호쿠사이 사막에서 다시 태어난 화가 조지아 오키프 겨울을 찍지 않은 감독 오즈 야스지로 다른 세상을 꿈꾸게 하는 목소리 어리사 프랭클린 그럼에도, 사랑의 색을 칠하다 마르크 샤갈 묵묵히 벽돌 하나를 더 쌓았다 안토니 가우디
3. 아물지 못한 상처에서는 "내 고통은 초현실이 아니야" 프리다 칼로 잊혀지지 않을 슬픈 전설 천경자 비극 속에서도 피어난 봄 빌 에번스 1200억짜리 낙서 장미셸 바스키아 바람과 함께 사라진 청춘 장국영 위대하고 쓸쓸한 무표정 버스터 키튼
4. 전쟁터에 내던져진 싸움꾼처럼에서는 영화를 찍으려 세상과 싸웠다 박남옥 20세기 예술의 수호자 페기 구겐하임 우연이 만들어낸 위대함 존 레넌 1896년생 나혜석과 1982년생 김지영 나혜석 서울에 불시착한 우주선 자하 하디드 여자의 몸은 여자가 그린다 수잔 발라동
5. 고독마저 그들에겐 재료였을뿐에서는 우주를 떠도는 음악 글렌 굴드 일본에선 '조센징', 한국에선 '이방인' 이타미 준 <캡틴 마블>에 너바나 음악이 나오는 이유 커트 코베인 영혼을 위로하는 만화 다니구치 지로 고독뒤에 가려진 고독 에드워드 호퍼 어둠을 수집한 보모 비비안 마이어 평생을 애도의 마음으로 에드바르 뭉크
6. 예술과 삶이 만나는 시간에서는 수수께끼를 그린 화가 르네 마그리트 인간을 고발한 좀비 아버지 조지 로메로 걷고, 걷고, 또 걷는 인간들 알베르토 자코메티 무엇이 인간을 움직이는가 피나 바우슈
다이앤 아버스, 가쓰시카 호쿠사이, 버스터 키튼, 박남옥만 빼고 나를 포함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만큼 유명한 예술가들이다
미술 음악 건축 사진 영화 무용.. 다양한 예술장르에서 전설이된 예술가의 생애와 대표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세계가 탄생하는 과정과 예술가의 일을 살펴본다
아폴로11호 달착륙 배경음악으로 유명해진 데이비드 보위 Space Oddity, 당대 최고의 지휘자 구스타프 말러가 프로이트를 찾아간 이유, 발레의 전설 니진스키의 비극적인 삶, 르누아르의 그림 모델에서 여성의 육체를 그리는 화가가 된 수잔 발라동, 지구를 대표하는 음악으로 무인우주선 보이저호를 타고 우주를 유영하는 클래식음악의 이단아, 괴짜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의 피아노 곡, 고독을 그린 화가 에드워드 호퍼 아내 조세핀 니비슨의 그림속 고독, 성공한 화가였지만 가족들을 잃고 평생 죽음의 공포와 외로움과 싸웠던 뭉크..
이미 알고있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처음 듣는것도 많아 예술사의 숨겨진 뒷담화만큼 흥미진진했다
맨 마지막에 나온 '춤이 아니면 길을 잃는다'는 무용가 피나 바우슈처럼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계속 들여다보고 탐구하고 헤아려보고 공감해야 한다
책을 읽기전부터 궁금했던 예술가의 일에 대한 궁금증이 조금 풀렸다
우리가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일을 하듯이 예술가들 역시 그렇다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이든 예술알못이든 세대를 초월해 전설로 남은 위대한 예술가들의 일을 구경하는것만으로도 충분히 예술적 영감을 주는 책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