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윤초록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래 동화가 품고 있는 중요한 과학 내용을 질문과 답으로 정리해 놓아서

아이들이 과학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익숙한 전래 동화 속에서 아이들 스스로 과학적 요소를 찾아보게 하는

요령을 익히면 여러 버전으로 재탄생시킬 수도 있어 더 재미있는 전래 동화 읽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의좋은 형제가 벼를 베어 낸 자리에서 내년에도 벼가 자랄까라는 질문으로

벼의 한살이를 생각해보게 하고 한해살이 식물과 여러해살이 식물이 있음을 구분해보게 하고,

식물의 한살이에 햇빛이 꼭 필요하다며 광합성에 대한 정리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다.

과하지 않지만 그래도 기본기는 다질 수 있을 정도의 과학적 지식을 제공하고 있어

학생들의 흥미 증진과 함께 과학 지식 함양도 충분히 유도할 수 있는 구성되어 있다.

효녀 심청이처럼 우리도 바닷속에서 정말 숨쉴 수 있을까 라는 엉뚱한 것 같지만

실제 아이들이 질문할 법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어 좋았다.

아가미의 역할뿐 아니라, 어류의 특징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고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로 척추동물의 구분까지 자연스럽게 정리를 하니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다.

호랑이가 기다린 동지가 무슨 날이냐는 간단한 질문을 통해

우리 선조들이 계절 변화를 구분하기 위해 만든 24절기를 구분하기도 하고

계절이 변하는 이유까지 점검하니 자연스럽게 지구과학 공부가 많이 될 것 같다.

훈장님과 꿀단지에서 우리가 느끼는 여러 가지 맛과 함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정리하며 건강하게 자리기 위해 골고루 먹는 습과을 들이자는 너무 뻔한 이야기로

마무리가 된 점은 다소 아쉬웠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는 재미있고 유익한 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