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상하고 천박하게 둘이서 1
김사월.이훤 지음 / 열린책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이야기 할 책은 김사월, 이훤 작가의 주고 받은 글로 엮은 에세이집 <고상하고 천박하게> 입니다.

출판사 지원으로 책을 받았어요..

*온전히 책만 지원받고 쓰는 서평입니다.

제목에서 웹소설 백묘 작가의 <고결하고 천박한 그대에게>가 자꾸 생각나더라고요...

우선 작가인 김사월님은 '싱어송라이터'라고 합니다.

음악을 거의 듣지 않는 저로서는 조금 생소했는데요..

책에서 언급되는 음악을 일부러 찾아서 들어봤어요.

독특한 음색으로 조곤 조곤 노래하시는 스타일입니다.

'사랑'에 대해 두려워하며, 살아가는 것 자체가 힘들다고 느끼는 작가인 듯 하네요.

함께 편지를 주고받는 작가 '이훤'은 '가녀장의 시대' 이슬아 작가의 남편입니다.

이슬아의 남자로도 유명한 이훤 작가.

처음에 남자랑 여자가 편지를 주고 받는 다는 것에 우정이라는 이름이 붙는 것이 생소했어요. 남자와 여자는 친구가 될 수 있어~ 라고는 생각하지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지를 주고받는 것까지는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내 안에 '편견'이 가득함을 알았네요.

살아가는 것에 대해

정착하는 것에 대해

삶의 한 순간도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의미를 부여하며 고뇌하는 예술가 두 명의 주고받는 편지들은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한 삶의 구석구석을 다시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들이 되었어요.

🪓(56) 존경하는 사람이 있냐고 물었지. 생각해 봤는데 아직 잘 모르겠어. 일단 지금은 누굴 존경할 수 있는 사람이 존경스러운 것 같다. 나 좋자고 하는 존경이 아닌 진짜 깨끗한 존경을 배우기 위해 우리는 질투라는 놈과 진흙탕에서 씨름하는 거겠지. 나는 이제 막 경기를 중단하고 샤워실에 들어온 참이라 아직도 더럽다.

🪓(57) 정희진 선생님은 소통이란 불가능하고 소통하려는 시도만이 가능하다고, 완전한 소통은 아마 자기 자신과의 대화밖에 없을 거라고 하셨지. 어쩌면 우리의 편지는 자신과의 소톡을 도와주는 거라고 감히 생각해본다. 어때? 우리는 서로의 독백 신을 서포트해 주는 상대 배우야.

🪓(61) 가장 중요한 건 읽기로 하는 마음일 거다.

🪓(99) 자신을 스스로 아프게 하는 데에 중독된 거야. 그 상처는 2번 차크라에 자국을 남긴대. 그거(악플) 안봐도 괜찮아.

🪓(104) 음악은 이미 그것만으로 또 하나의 시제이고 땅이니까. 그 자체로도 완전하지. 이 노래엔 아름다웠던 영화 속 장면뿐 아니라 상영관 밖에서 우리가 친절해지던 영화 속 장면뿐 아니라 상영관 밖에서 우리가 친절해지기 위해, 슬퍼 않기 위해, 슬퍼하기 위해, 모르기 위해, 멈추고 사과하기 위해 분주해지던 모든 움직임이 전부 다 있다.

🪓(147) 폴리아모리네. 그래 어떤 시인들은 단어들이랑 폴리아모리한다. 전복 만한 사랑이 없지. (웃음) 언어를 계속 뒤집으면서 평소 쓰던 문장을 새롭게 하는 쾌락이 있어.

*폴리아모리 : 다수의 사랑

🪓(166) 우아한 듯이 행동하라. 당당하게 존재하며 위대하게 행동해라. 과장된 우아함과 정확함으로 움직여라. 그러면 오래잖아 당신의 몸이 정말로 그렇게 바뀔 것이다.

🪓(193) 글쎄 좋아하게 될 사람은 어떻게 해도 결국 좋아하게 되더라.

그리고 좋아하게 된 이유로 싫어하게 되지. 같은 이유를 기반으로 좋아할 수도 싫어할 수도 있는 것이 인간의 괴로운 점

🪓아름다운 것에만 둘러싸이는 자는 가끔 천박하게 말하고 싶은 충동에 휩싸인다. 산책하다가 깜짝 놀랄 만한 생각을 하기도 한다. 너무 안 어울려서 두 언어가 한 사람에게 속한 것이라고 믿기지 않을 것 같은 말을, 같은 날, 나는 놀랍도록 다른 마음을 갖는다. 아름다운 사유와 아주 못된 말을 동시에 품는다.

아름다움만으로는 세계가 통째로 굴러가지 않는 날도 있다.

☑️ 이번 작품을 읽으면서 '예술'을 생각해보았어요.

저에게는 낯설기만 한 예술이란 세계...

자신의 안에 담긴 그 말들을 표현하기 위해 이미지로 노래로 어떻게든 끄집어내는 사람들.

과연 나는 꺼내고 싶은 말이 있기는 한 것인지

왜 이들은 이렇게 꺼내기 위하여 애쓰는 것인지..

세상을 보는 시선들에 대해 말하고 싶은 이들의 '원천'은 무엇인지

이들이 느끼는 결핍, 상실의 감정의 원천은 무엇인지.

나는 왜 '표현'하고자 하는 그 무엇이 없는 것인지..

예술 그 고상함에 대해..

그리고 때로는 그 천박함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 <고상하고 천박하게> 입니다.

이 책은 열린책들의 새로운 에세이 시리즈 <둘이서>의 첫번째 편이네요.

앞으로 서윤후, 최다정 / 백가경, 황유지 / 남순아, 백승화 / 이숙경, 이주영 / 도재경, 정선임 / 김혜진, 최진영 / 김상혁, 손문경 / 서이제, 안태운 / 김리윤, 김선오 총 10편이 나올 예정입니다.

이 중 아는 작가가 거의 없네요.. 진짜 한국문학 좀 읽어야겠어요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