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열두 달 - 고대 이집트에서 1년 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평범한 하루도 역사가 될 수 있을까?
소설처럼 읽는 고대 이집트 생활사

도널드 라이언 작가는 미국 퍼시픽루터란대학교 인문학부의 저명한 교수이자 고고학자입니다. 고대 이집트 연구에 천착하며 ;왕가의 계곡'발굴을 지휘했던 그가 고대 이집트 연구에 대한 그의 학문적 견해를 담아낸 책 <제국의 열두달>.. 부제는 고대 이집트에서 1년 살기 입니다.

예전에 읽었던 <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가 연상되는 제목이었는데.. 역시나 옮긴이가 같은 번역자입니다.

고대 그리스편은 사실 생소한 이야기들이 많았고, 살짝 지루함이 있었는데.. 이번 <고대 이집트에서 일년 살기> <제국의 열두달>은 만화 <나일강의 소녀> 덕분에(?) 그 장면들이 상상이 되면서 엄청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무엇보다 책을 읽으면서 문장 문장마다 질문을 하거나 내 생각을 덧붙이면서 책을 읽어나간 것이 오히려 책의 내용에 빠져들게 만들어 준듯 합니다.

아멘호테프 2세로부터 시작해 투트모세 4세까지 이어지는 1년 동안의 이야기..
그 이야기속에는 죽음이 담겨 있지만 새로운 시작인 결혼도 담겨 있고, 그냥 결과값만 보이는 것과 달리 그 결과를 위해 뒤에서 수고하는 사람들의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만화 <나일강의 소녀>에서 그려졌던 장면들 (낚시하는 장면, 병원에서의 장면, 미라 만드는 장면 등등)이 많은 터라.. 글을 읽는데 뭔가 그림이 그려지고 생생하게 느껴지는 그런 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책을 읽으면서 신기한게.. 사람 사는 것이 다 비슷비슷하구나 하는 점입니다.

고대인들이 종교에 그렇게까지 열심일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지만.. 우리가 지금 자본이라는 것에 맹목적으로 순종(?) 아닌 순종을 하는 것처럼 당시의 고대이집트인들도 신이라는 권위에 절대 복종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안에서 소소한 반항이나 불평, 불만을 하는 모습은 진짜 우리네 삶과 조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제일 어이(?) 없던 것은 '탈모'에 대한 고민을 호소하는 부분입니다. 정말 탈모가 고대에도 큰 고민거리였을가요?

이 책은 역사책이라고는 하지만 저자는 역사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역사적 증거물들(유물들, 기록들)과 작가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합작품인 <제국의 열두달> ..
고대 이집트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그리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저는 서평단으로 활동하며 책을 읽었지만 언제든 내돈내산으로라도 읽어도 좋을 책입니다.
역사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무조건 추천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