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그리는 아이 - 레오의 영국 드로잉 여행 세상을 그리는 아이 시리즈
레오 박소훈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 전 기대감

세상을 바라보는 여러가지 시선들이 있습니다.

여자의 눈으로 볼 수 있고, 남자의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과학자의 눈으로 볼 수 있고, 문학도의 눈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음악가의 눈으로 볼 수 있고, 미술가의 눈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아이의 눈으로 볼 수 있고, 노인의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읽게 되는 [세상을 그리는 아이]는 영국이라는 나라를 아이의 눈으로, 미술가의 눈으로 바라본 모습들입니다.

미디어를 통해 많이 익숙한 공간들도 있을 것이고,

전혀 생소한 공간도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드로잉이라는 예술 영역에 있어서 아직 성인이 되지 않은 아이의 손길이 과연 얼마나 멋진 모습을 그려낼지도 기대가 됩니다. 기대되는 그림들 그리고 그 그림을 그리면서 가진 레오 박성훈의 생각들도 궁금합니다.

저의 둘쨰 아이도 그림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싶어하기에 과연.. 그림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의 마음도 가져보면서... [세상을 그리는 아이]를 시작해봅니다.


💬읽은 후 단상(斷想)

책을 읽기 전에는 영국 풍경을 잘 그린 일러스트레이터 정도로 생각했는데 책을 읽으며, 그의 그림을 찬찬히 보다 보니.. 레오 박소훈은 단순한 드로잉 작가가 아니었습니다. 건축가를 꿈꾸고, 작가를 꿈꾸는 그는 예술가입니다.

처음에는 그가 잘 흉내내어 그린 그림이다 라는 생각을 하고 그림을 봤는데 한장 한장 넘기면서 … 구름의 표현, 창문의 표현에서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어가는 것, 색감의 표현들도 그렇구 그냥 따라만 그리는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그의 그림을 한 장 한 장 넘기고 그의 글을 따라 읽으면서 ‘책 내용’을 이렇게 그림으로 그려봐도 잘하겠다는 생각과 나도 서평을 글로 쓰는 것 말고 이렇게 그림으로 남겨볼 수 있음 좋겠네~ 하는 생각을 했는데.. 뒤편에 자신이 감명깊게 읽은 책의 ‘감상화’를 남겨두었습니다.

아직 청소년이기에 책들은 ‘해리포터’ ‘모털엔진’ 등 청소년 소설이긴 하지만 저 또한 재미있게 본 책들이라 반가웠습니다.

거기다가 그림을 그냥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상상력과 미술기법을 조화시켜서 그려나가는 것이 참 똑똑한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드로잉에 대해서는 ‘똑같이 그리는 것’ 이란 생각을 했었는데 그게 아니구나 하는 것을 이번 책 [세상을 그리는 아이]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영국을 돌아다니면서 큰 얼개의 그림은 비슷하게 그리지만 그 뒤의 구름 표현, 그 앞의 사람들의 표현등은 재미있습니다.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이지만 신사는 크게 그리고 , 신문팔이 소년은 엄청 작게 그리기도 합니다. 대체로 표정없는 사람들로 그리기는 하지만 간혹 그 표정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 지 알게끔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름의 경우는 색깔, 표현방법 등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여러 미술 기법들을 배우면서 이를 적용해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레오 박소훈은 세상과 소통합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다양한 화가들, 작가들과 소통하다보니 또 그들과 연결되어 다른 작가들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가 그린 그림을 인스타에 올리면서 실제 그 그림의 장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보고 연락하고, 그 그림들을 자신의 브랜드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인터넷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였다면 자신의 책상에서만 그리고 겨우 주변에서만 머물렀을 그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세상 어디서든 만날 수 있고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은 또한 감사한 일입니다. 그리고 그 연결과정에서 ‘영어’는 필수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다시금 영어 공부를 해야만 하는 당위성을 찾았다고 해야 할까요..)

저희 아이도 그림을 그립니다. 이 친구는 ‘만화’쪽의 그림을 그리다보니까.. 사실 이러한 건축물, 배와 같은 섬세한 구도는 잘 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친구도 매번 그림을 하나 그릴때마다 그 사람의 표정을 나타내는 것, 팔과 손을 묘사하는 것 등에 심혈을 기울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비슷비슷해보이는데 그렇지 않다면서 선 하나 하나를 표현하는데 최선을 다합니다. 비록 공부는 하지 않지만 그렇게 하나에 집중하여 자신의 열정을 표출한다는 것이 훌륭하다고 생각되어 저는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지 않습니다.

자신이 원하고 재미있어 하는 것을 하라고 ‘드로잉북’과 ‘디지털 패드’를 사주었습니다. 박소훈 작가처럼 매일 5시간 정도 .. 어쩔때는 그 이상을 그림을 그리며 지내는 아이입니다.

언젠가 우리 아이도 이렇게 자신의 이름으로 ‘드로잉북’을 낼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도 생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