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심리학 실험실 - 집에서도 할 수 있는 50가지 초간단 심리실험
마이클 A. 브릿 지음, 류초롱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로 제가 이 책에 나온 실험 중 해보고 싶은 사람은 변화맹이라는 실험입니다.
대니얼 사이먼스와 대니얼 레빈이 연구한 것으로 현실세계에서 상호작용 중 사람들에게 일어난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실패하는 지를 보여주는 실험입니다.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누군가 길을 물어보고, 잠깐 주의력이 분산되었다가 그 사람을 다시 보았을 때 변화를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대학교 캠퍼스에서 지도를 든 한 사람이 서있다가 지나가는 행인에게 길을 물어보고 도와주기 위해서 행인이 길을 멈춘 지 채 1~2초가 되지 않아 두어명의 사람들이 "잠시만요"하면서 두 사람의 사이를 지나가면서 시선은 분산시킵니다. 이때 행인은 자신에게 길을 물어본 상대를 보지 못합니다. 그리고 다시 그 상대를 보게 되었을 때 질문자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걸 사람들은 전혀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이것이 바로 "변화맹"입니다.
여기서 중심은  내 사회 정체성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닐 가능성이 높을 때 변화맹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캠퍼스에서 건설노동자를 만난다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닙니다. 이들은 내집단이 아닌 외집단 구성원이고, 상대적으로 이들에게 덜 관심을 기울이게 됩니다

그럼 이걸 어디에 활용할 수 있느냐? 저자는 이 변화맹이 범죄 목격자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목격자 증언에 있어서 얼마나 확신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목격자들이 범죄자들에게서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끝까지 쳐다보지 않는 이상은 중간에 비슷한 누군가와 바뀌어도 알수 없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문득 생각나는 것이 [콜카타의 세사람]에서도 이러한 변화맹을 판사들이 알고 있었다면 함부로 판결 내리지 않았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해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