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1 - 조선 백성들, 참다못해 일어서다 ㅣ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1
이이화 지음 / 교유서가 / 2020년 7월
평점 :
동학농민군의 첫 횃불이 시작된 곳은 고부군수 조병갑의 폭정에 대한 항거입니다. 1894년 1월 10일 밤, 예동의 공터에 농민군과 고을민 수천 명이 모여들어 머리에 수건을 두르고 죽창을 꼬나들며 임시 깃발인 석기를 들고 고부관아로 진격!! 군중심리는 계기가 생기면 한순간에 흥분해 발동하기에 이들은 전봉준의 지휘 아래 하나로 뭉쳐 11일 새벽 고부관아 동헌을 장악합니다. 잽싸게 도망간 조병갑.
전봉준은 고부 봉기를 발판으로 삼아 호남뿐 아니라 전국 전역으로 봉기를 확대하려는 구상을 세웁니다. 이어 무장에서 농민군 훈련장을 만들고 전면적 봉기를 결행하기로 합니다. 3월 20일 창의소라는 이름을 내걸고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순으로 서명하고 포고문을 발표한 농민군. 이 포고문은 민씨 정권을 향한 전면적 선전포고였고, 벼슬을 독점하고 특권을 누리는 양반 유림을 향한 질타였습니다. 무장읍성을 점령하고 4대 명의라는 행동 강령을 공포한 지도부! 이들이 세운 4대 명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사람을 함부로 죽이지 말고 가축을 멋대로 잡아먹지 말라.
둘째, 충효의 마음을 다하여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
셋째, 왜의 오랑캐를 섬멸하고 성스러운 길을 맑게 하라.
넷째, 군사를 몰아 서울로 들어가 세도가를 깡그리 없애라.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