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 - 교묘하게 인간을 지배하는 무의식과 꿈의 세계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캘빈 S. 홀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요새 프로이트에 대한 책을 자주 읽습니다.

얼마전 [매일읽는 철학] 시리즈로서 '프로이트'를 만났습니다.

그 책에서 '프로이트'의 인생이 어떠했는지

그의 생각체계들이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만난 세계.. 아니 프로이트..

...

어려웠습니다.

사람들이 '정신분석'하다 '정신분열'일어난다는 말이 어떤 말인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절대 가벼운 생각으로 읽을 수 없는 책

딱 ... 제가 가진 [심리학 3대 거장] 시리즈에 대한 느낌입니다.

책 표지는 만화 풍으로 그려내어

쉽게 접근 할 수 있을 것처럼 그려놓고...

배신입니다.

사실 내용 자체가 엄청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글의 편집?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냥 줄줄줄 글만 써있고

그 이야기들이 다 전문 용어이다 보니..

집중해서 읽기가 무척 힘들었습니다.

지난 번 프로이트를 읽을 때는 영화같은 그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어서

정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는데..

너무 대조적으로 이번 책은

이론이 너무 많았습니다.

무의식과 꿈의 여행이라고 하더니..

정말 자꾸만 꿈나라로 보내버리는 책..

아마도 심리학을 전공으로 하고 (응 나인데?)

어느정도 정신분석에 대한 이론을 시험을 본 사람이라면

좀더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지 않을까 ...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런데 심리학 전공을 한 저는 왜 못읽었을까요?

아마도 대학 졸업한지 .. 벌써 20년 가까이 되어서 이겠지요...

...

그래야합니다..

...

절대 대학교 다니면서 공부 안한 거 아닙니다..

이렇게 다시금 심리학 공부를 하는 기분을 느끼게 해준 책

[지그문트 프로이트]

책을 쓴 캘빈S홀은 프로이트의 역할에 대해 큰 의미와 가치를 부여합니다.

무엇보다 큰 것은 이드와 독립된 별개의 지위를 자아에게 부여한 것입니다.

기존 다른 분야의 심리학과는 달리 무의식의 과정보다 의식의 과정에 더 많은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신이 환자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체계를 잡은 소위 임상학적 이론으로서의 프로이트 이론과

스스로 초심리학이라 불렀던 그의 철학적 사고를 구별하게 된 것입니다.

아마도 제가 예전에 읽었던 내용들은 그의 철학적 사고, 초심리학에 기반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프로이트의 성 심리학적 단계 구분 등 그의 이론이 정당한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주장들이 있습니다.

매우 정당하다에서부터 거의 가치가 없다까지..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가 남긴 족적이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거대하고 깊은 족적이라는 것입니다.

이어서 등장하는 '칼 구스타프 융' '알프레드 아들러'라는 심리학 3대 거장을 직접 이끌었던 수장입니다.

비록 생각의 차이로 인해 결국 다 구별되어 나갔지만

처음 '프로이트'의 생각이 없었다면 이렇게 구분도 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선구자는 힘든 법...

그 의미에서라도 프로이트의 '심리학'에 대해

진지하게 접근할 수 있었던

[지그문트 프로이트]

출판사 지원으로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