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구스타프 융 - 영혼을 파고드는 무의식 세계와 페르소나 탐구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칼 구스타프 융.캘빈 S. 홀 지음, 이현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 수업을 받을 때마다 절대 놓치지 않고 배우는 두 인물

바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칼 구스타프 융'입니다.

지난 번에 프로이트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융과 프로이트의 관계가 돈독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이트의 후계자로 인정받던 '융'

그런 그가 프로이트의 리비도 라는 개념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보이고

결국 결별했다는 것까지는 알았는데

이번 책을 통해 이후 독자적으로 개척한 분야인 "분석 심리학"에 대한 이야기는 처음입니다.

인간의 내면에 무의식의 층을 연구하고 또 연구했던 융

그래서인지 현대의 자기계발서에서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융'입니다.

융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의 마음 그리고 집단의 마음입니다.

평생을 거쳐 환자들을 치료하고 상담하는 과정을 통해 융은

'무의식'이 가지는 그 깊은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융의 심리학을 단지 이 1권만으로 이해할수는 없지만

최소한 융이 말한 '무의식'이 무엇인지

동량의 원리와 엔트로피의 원리에 대한 이해는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융은 BTS의 '랩몬스터'가 그의 이야기를 일부 언급한 덕분인지

누구보다 지금 현대인들에게 친숙한(?) 심리학자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바로 페르소나 라는 개념입니다.

본래 페르소나는 연극에서 특정한 역할을 위해 배우가 쓰는 칼.. 즉 가면입니다.

개인은 페르소나에 따라 자기 자신의 것이 아닌 성격을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기대 역할이라고 볼 수 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역할의 가면, 모든 가면을 총괄하는 것이 그의 페르소나입니다.

인격에 있어서 페르소나는 '나'라는 존재를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역할에 빠져 자아와 그 역할을 동일하게 여김으로써 인격의 다른 측면

즉 본성이 약해지고 갈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융은 이 페르소나를 정신의 '겉면'이라고 불렀으며

정신의 내면에 대해서는 남성은 '아니무스' 여성은 '아니마'라고 불렀습니다.

생물학적으로 모든 사람은 성별에 관계없이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이성의 성질이 있습니다.

즉 남성은 유전적으로 여성상을 갖고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일정한 규정을 만들고 그 영향 탓으로 특정 여성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한다는 것입니다.

살짝 어렵습니다.

여기서 이 책의 아쉬운 부분입니다.

융의 견해들에 대해 캘빈 S 홀이 잘 설명을 합니다.

그런데... 어렵습니다.

이게 살짝 아니 좀 많이 이해가 안됩니다.

거기다 편집도... 조금 ... 아쉽습니다.

좀 어려운 개념이나 구분이 필요한 개념들에 대해서는 중간 중간 정리를 해주거나 했으면 좋았을 것을..

약간 내용 자체는 교과서적인 내용인데

책 자체는 소설 편집처럼 그냥 1장부터 마지막까지 쭉 이어지다보니

집중도도 떨어지고 이해력도 떨어진 듯 합니다.

100% 이해하지 못한 책에 대해서는 언제나 아쉬움이 남는 거 같습니다.

우선 이해를 못한 내 자신의 부족한 이해력에

그리고 두번째는 독자를 조금 더 배려해주지 못한 출판사에..


*도서까페 리딩투데이에서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출판사 지원으로 읽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