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드 아들러 - 건강한 인간의 긍정적 노래와 도전을 위한 용기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이 전국을 강타한 적이 있습니다.

정말 폭발적인 인기를 보였습니다.

이전까지 심리학이라고 하면 "꿈"에 대한 해석

무의식에 대한 설명이 전부였는데

아들러 심리학이라는 것이 소개되면서

아주 핫한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처음에 '개인'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하는 이야기에 통쾌함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정말이지 미움 받아도' 상관없다.

라는 개인주의를 옹호하는 그의 이야기들을 읽다보니

이 이야기들의 중심이 되는 '아들러 심리학'이 궁금해졌습니다.

대학교 심리학 수업 당시에는 못들어본 이름인거 같은데..

(여기서 못들은 건지.. 안들은 건지... 들었는데도 잊은 것인지....)

확실한 것은 프로이트나 융에 비하면 인지도가 낮았다는 것입니다.

"열등감"을 극복해내고 사회 속에서 성장할 수 있다는 것

인간은 사회적 협력과 인간애를 통해 '성숙'해진다는 것

이번에 읽게 된 [알프레드 아들러]는 이런 아들러 심리에 대해

아들러 본인이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심리학 3대 거장 시리즈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읽기가 수월합니다.

'전문적 용어'보다는 사례를 통해서 조금 더 이해하기 수월하게 글을 썼습니다.

아들러 심리학의 특징 중 하나는 '과거'는 과거 일뿐입니다.

프로이트 등이 "과거의 경험"에 얽매여 있으니 이를 끊어내야 한다고 말하는

'결정론적'이론을 반박합니다.

아들러 자신이 자신이 어릴 적 약한 건강과 부모의 무관심 등의 시련을 겪었지만

그로 인해 포기하는 일 없이 끝가지 최선을 다해서 성장하였기 때문입니다.

얼핏 잘못읽으면 '개인의 노력'만을 강조하는 듯 보이지만

그보다는 모든 사람이 보다 인생을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과 함께 사회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신을 개선하려는 노력에 대해 열등감 보상과 우월감 추구라는 개념을 들어 아들러는 설명합니다.

"열등감이란 개인이 어떤 일에 대해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혹은 준비되지 않아서 그 일을 해결 할 수 없다는 자기의 확신을 언행으로 표현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긴장을 자아내는 열등감이라는 감정은

궁극적으로는 우월감을 향해서 나아가는 보조적 운동입니다.

우월감을 얻는 것이 문제 해결의 방법은 아입니다.

우월만을 추구하게 되면 인생의 무익한 측면으로 향하기 때문입니다.

공동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우월이라는 수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모든 구체적인 목표에 있어 '참된 보상'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소의 과오가 있더라도 우월이라는 목표가 고도의 사회 감정과 연결되어야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