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 매일 읽는 철학 2
예저우 지음, 이영주 옮김 / 오렌지연필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염세주의자 쇼펜하우어!

염세주의라 함은 세상을 장미빛 향기나는 밝고 환한 곳으로 보기 보다는

어두컴컴하고 침울함이 감도는 우울한 곳으로 바라보는 입장입니다.

일종의 허무주의입니다.

그래서 쇼펜하우어의 글을 그냥 읽으면 엄청 우울해지곤 합니다.

그의 대표 문장들을 읽어보면.... '사물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인류는 철저히 욕망과 욕구의 화신이다'

'인류 행복의 양대 적은 고통과 무료함이다.

'누구에게나 어느정도의 걱정, 고통, 번뇌는 항상 필요하다'

'사람은 고슴도치처럼, 지나치게 가까이 다가가면 서로를 찌르게 된다.'

'이른바 휘황찬란한 인생은 단순히 욕망에 갇힌 수감자 일뿐이다'

저처럼 뭔가 힘을 얻고 싶어하고, 긍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사람에게

쇼펜하우어는 어딘가 모르게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리딩투데이] [서평단]으로 함께 읽은 예저우의 [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에서도 걱정이 앞섰습니다.

'아. 읽고 우울해지면 어떻하지'

'이런 허무주의자로부터 무얼 배울게 있나?'

'이 사람은 그냥 마마 컴플렉스에 사로잡힌 사람 아니었나?'

그런데 제 예상과 달리 오렌지 연필에서 나온 [매일 읽는 철학] 시리즈 중에서

제일 생각을 많이 하게 된 것이 [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편입니다.

다른 책이 '좋은 것은 이거야. 그러니 좋게 행동해.' 라고 이야기하는 반면에

쇼펜하우어는 '세상은 X야. 그러니 발버둥쳐도 x겠지. 그런데 이걸 한번 더 생각해보면 Y야'라고 말합니다.

쉽게 말해 세상은 허무하니까 그냥 허무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살아야 함을 이야기합니다.

"인생 진짜 짧아.. 얼마나 허무한데.. 그러니까.. 인생을 가치있게 살아"라고 말이죠.

처음에 부정적인 말로 한번 충격을 주고, 그 다음에 이어서

그 부정을 한번 더 부정할 수 있는 인간의 의지를 이야기합니다.

고독에 있어서도

'인간이 얼마나 외로운 존재인지. 그런데 이 외로움을 승화시키면 얼마나 높은 차원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쇼펜하우어는 "But" 의 철학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제가 쇼펜하우어에 대해서 알고 있던 이미지는 '잘나가는 엄마'의 그늘을 벗어나기 위해 아둥바둥한 모습입니다.

당대 유명한 소설가이며 페미니스트였던 요한나 쇼펜하우어.

그녀의 사회적인 모습과 성격으로 부부의 사이는 좋지 못햇고,

아버지가 어머니때문에 자살했다고 생각한 쇼펜하우어는 늘 어머니를 애증했던 걸로 보입니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에도 '샬롱'을 열고 당대의 지식인들과 교류를 이어갔던 요한나.

그런 그녀와 고독을 이야기하는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는 어찌보면 상극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흔히들 모자(母子)관계라고 하면 엄청 끈끈하고 좋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이마저도 반전입니다.

제가 철학을 전문으로 한 것도 아니고

원래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좋아하기보다는 싫어한 편이었기에

예저우의 이번 작품이 얼마나 원본에 충실했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심리학 방사이며 긍정 전도사라고 하는 예저우가 이번 작품을 통해 어떻게든 사람들에게

부정 속에서 긍정을 바라보는 법을 알려주기 위해서 노력했는지는 책을 읽는 내내 느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국 고사들과 함께 생각해보는 '생각거리'들은 흥미롭습니다.

동서양의 철학이 하나되는 느낌이랄까요?

특히 이번 작품에서는 사색의 중요성이 많이 강조됩니다.

그만큼 쇼펜하우어가 사색을 많이 하였기 때문이겠지요.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과의 만남이 어려워진 시기에 '쇼펜하우어'를 따라 사색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독립적 사색을 위한 3가지 이행사항

1) 질의 능력 : 질의란 합리적 질의, 근거있는 질의

2) 독립적이고 실사구시적인 판단 능력 : 어느쪽에도 치우치지 않아야 하며, 어떤 일에든 가급적 냉정하고 이지적으로 사유해, 공평하고 공정하며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3) 진리를 추구하는 능력 : 독립적 사색 중 가장 관건이 되는 능력

- 공상과 의문에 머물렀던 생각을 현실적 이론의 성과로 전환해줌

그가 이야기하는 사색하는 법의 시작은 독서에서부터 시작합니다.

(319) 쇼펜하우어는 우리에게 다음의 내용을 일러주고 있다.

"배움과 사상을 결합해 사고(思考)하는 독서를 하라. 문제의식, 목적을 가지고 책을 읽어라.

그래야 제대로 된 독서를 하게 되어 그 속에서 얻는 것이 있다.

그 얻은 것을 통해 자신만의 원칙이 형성되어 자신에게 유용해진다."

여기에 예저우는 마오쩌둥의 독서법도 알려줍니다. 바로 '삼요'입니다.

요독서(要讀書, 독서를 해야 한다)

요회의(要悔疑, 의문점이 있어야 한다)

요제출의견(要提出意見, 자기 의견을 내놓아야 한다)

단순히 쇼펜하우어의 생각뿐만 아니라

이러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어떻게 지금 시대에 적용하고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친절한 조언들을 아끼지 않는 책 [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 잘 보았습니다.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1) 지금이 고독하고 외로운 데 어떻게 시간을 보내야 할지 모르겠는분

2) 사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는데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는 분

3) 쇼펜하우어를 비관적 철학자라고만 생각하여 싫어했던 저같은 분

👎👎👎 이런 분들에게는 비추합니다.

1) 철학의 원문을 가지고 철저히 분석해보고자 하시는 분

2) 인생에 대해 이래라 저래라 말하는 게 싫으신 분

3) 가볍게 접하는 철학은 철학이 아니다라고 생각하시는 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