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우스의 노래
매들린 밀러 지음, 이은선 옮김 / 이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당연하게 생각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하늘은 푸른색일 것이다.
바다는 파랄 것이다. 혹은 차가울 것이다.
아침이면 해가 떠오를 것이다.
남자의 사랑이라고 하면 상대가 여자일것이라고 보는 것
도 이렇게 당연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당연히 이 책의 내용 또한 영웅 아킬레우스의 모험과 (여자와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일거라 생각했습니다.
어허...
그런데 반전!!
[일리아스]에도 등장하는 파트로클로스와 아킬레우스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아킬레우스의 모험, 위대한 싸움도 주제가 아니었습니다.
순전히 주제는 죽음으로 치닿는 파트로클로스와 아킬레우스의 사랑이었습니다.

역사 아니 신화속에서 그닥 큰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는 파트로클로스이지만... 그를 재조명하여 자신이 영웅이 되고자 하지 않고 서브에 만족했던 인물을 그려냅니다.
그런면에서 제목을 .. 아킬레우스의 노래가 아닌 ‘파트로클로스’의 노래로 했다면.. .아마 사람들이 그게 누구야 했겠지요?
그만큼 그리스 신화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인 파트로클로스..
그러나 이 소설에서만큼은 전쟁의 향방을 가른 중요한 인물입니다. 왜냐하면 불세출의 영웅 ‘아킬레우스; 그리고 ‘헥트로 ‘사르페돈까지.. ‘파트로클로스’와 연결되어 다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트로이 전쟁’의 라운드 1이 ‘파트로클로스’로 인해 끝나게 되는 것이지요.

처음 파트로클로스가 등장했을 때는 뭐 이리 빌빌거리는 친구가 있나 했습니다.
사실 지금도 처음에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를 맘에 들어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외모적으로 성격적으로 무엇 하나 뛰어난 것이 없던 파트로클로스였는데..
친구로 애인으로 파트로클로스를 맘에 들어한 아킬레우스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요?

사실 읽는 내내 왜 하필 파트로클로스인가 하는 생각을 계속했습니다.
그런데 두둥~~ 마지막...
처음엔 브리세이스 그리고 죽어가는 그리스군에 대한 안타까움때문이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아니었습니다.
파트로클로스는 ‘아킬레우스’ 자신보다 아킬레우스를 더 잘 알았습니다.
명예.
그 명예가 실추될 경우 ‘아킬레우스’의 자존심이 얼마나 상할지.. 아킬레우스 본인보다 더 잘알았던 ‘파트로클로스’
그래서 그의 명예를 위해 전장에 뛰어든 ‘파트로클로스’
아아..
그러나 신들의 장난은 가혹했습니다.
적당히라는 것을 모르고 치달았던 그 결과..

표지 그림이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를 그렸다는 것은 책을 읽는 중간에 알았습니다.
아마도 그림 속 열매는 무화과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리라도 그려놨으면 좋았을 것을...

동성애에 대해서 중립적인 입장이기에 그게 큰 부담은 아니었지만 혹 동성애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는 분이라면 읽기 조금 부담스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 비슷한 동양 소설로 [마도조사]가 생각납니다.
약간 분위기도 그렇고 비슷한 거 같습니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