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시스터즈 키퍼 - 쌍둥이별
조디 피콜트 지음, 곽영미 옮김 / 이레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로 먼저 접했는데 원작과는 결말이 다르다는 말을 들었다. 대부분 원작의 결말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는데 그것때문에 더 궁금해서 읽게됐다. 읽어보니 정말로 원작의 결말은 영화와는 달랐고 더 가슴아팠다. 솔직히 마음에 썩 드는 결말은 아니었다. 안타깝고 슬픈 결말을 안 좋아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안나는 언니 케이트의 백혈병 때문에 태어난 맞춤형 아기였다. 다른 평범한 아이들과는 조금 다른 탄생 배경을 갖고있는 셈이다. 만약 케이트가 아프지 않았다면 안나는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엄마 사라는 케이트를 병으로 보낼수 없었기 때문에 케이트와 유전자가 똑같은 안나를 낳게 됐다. 그렇게 태어난 안나는 케이트를 위해 피,골수 등등을 주었고 이젠 신장마저 줄 상황에 처한다.그동안 아무런 반항없이 이 모든 일을 꿋꿋히 해오던 안나. 하지만 더이상은 할수없어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낸다. 자신의 몸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하게 해달라는게 소송의 목적이었다.  

안나의 입장이 충분히 이해가 됐다. 아픈 언니를 위해 모든것을 주고 병원 신세를 져야 했고 신장마저 주게 됐다. 언니를 사랑하고 이 소송이 언니를 죽게 만들거라는것도 알지만 할수밖에 없는 상황이 안쓰러웠다. 반면 엄마 사랑의 입장도 이해가 됐다. 두살배기 딸에게 닥친 백혈병,얼마 못살거라는 말을 듣고 어느 부모가 쉽게 자식을 포기할수 있겠는가. 윤리,도덕적인 문제도 아이의 생명 앞엔 뒤로 밀릴수밖에 없었다.  

맏아들 제시의 반항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 가족 중에 아픈 사람이 있으면 자연스레 그 사람에게 관심과 집중이 갈수밖에 없고, 그로인해 다른 가족은 소홀할수밖에 없다. 항상 죽음을 생각할수밖에 없는 케이트의 상황도 슬프긴 매한가지다.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는 가족이지만 이 처럼 안나의 가족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위태로움 속에서 살수밖에 없다. 케이트의 병으로 인해서 말이다.  

이 소송에서 이긴다해도 누구 한사람 크게 기뻐할수 없는게 바로 이 사건이다. 책을 읽으면서 안나의 입장이 됐다가도, 사라와 다른 가족의 입장이 되기도 했다. 다른 사람도 아닌 가족의 일이기 때문에 더 힘들었을 이야기. 마지막 에필로그를 읽으면서도 가슴 아프고 쓸쓸한 느낌은 가시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