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책 ㅣ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앤솔러지
기 드 모파상 외 지음, 최정수 외 옮김 / 현대문학 / 2022년 11월
평점 :
『사랑의 책』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외 지음 / #현대문학
.
.
🔖시간은 세상 어디에나, 그의 삶과 그녀의 삶, 어디에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입술에 키스를 하는 순간, 그는 알았다. 시간이 다하도록 찾는다 해도 지나간 4월의 시간들은 다시 잡을 수 없다는 것을. 그는 자신의 두 팔이 쥐가 날 때까지 그녀를 놓아주지 않을 수도 있었다. 그녀는 그가 갖고 싶었던, 싸워서 쟁취하고팠던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싶었던 무엇이었다. 하지만 서편으로 지던, 석양으로 밀려 들어가던, 혹은 밤의 미풍 속으로 흘러들던, 그 만져 볼 수 없는 속삭임은...... 그래, 가거라, 하고 그는 생각했다. 4월은 끝났다. 4월은 흘러 갔다. 세상에는 온갖 종류의 사랑이 있다. 그러나 그 어떤 사랑도 똑같이 되풀이되지는 않는다. p220_현명한 선택 중
.
.
📖인간에게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사랑과 죽음을 테마로 세계문학 단편선 앤솔로지를 현대문학에서 펴냈다. 내심 두권중 어떤 테마가 도착할까 기대했는데 내겐 『사랑의 책』이 왔다. 사랑, 나즈막하게 발음해보고 이내 죽음을 말할 때도 이런 느낌일지 궁금해졌다. 그러니까 공통적으로 불러일으키는 그 궁금증이란, 여전히 잘 모르겠다, 라는 것이었으니까. 아마 비슷한 결의 느낌일 것이다. 세상엔 온갖 종류의 사랑이 있다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내가 표면적으로 아는 사실 불과하다. 그리고 이렇게 소설이라는 형태로 만나면 비로소 어느정도는 실감하게 되는 것 같다. 허구의 세계속에서 실감이라니, 싶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사랑이 사랑인지도 모르고 허다하게 순간을 놓쳐버릴 성정인지라 이렇게라도 붙잡아 보고 싶은 심정이랄까.
다채로운 열입곱의 단편은 사랑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운명적이거나 어쩌면 너무 유치한 모습으로, 그래서 질투는 물론 잔인하기까지 하다. 꽉 쥐려할 수록 오히려 허무하게 놓치기도 하며, 완벽한 상대라고 확신하면서 단 한가지에도 와르르 무너지는 마음같은 것들. 때론 돌고 돌아 기쁘게 맞이하기도 하지만 한여름밤의 꿈처럼 기약없이 사라져버린 사랑들도 있다. 기준도 정도도 없이 맹목적일 수록 달아나는 것 또한 사랑의 모습 중 하나일 테고, 외로움에 무력하게 백기를 든 채 받아들이는 사랑도 있다. 사랑인가, 아닌가 헷갈릴 법도 한데, 사랑에 정확한 정의를 누가 내릴 수 있단 말인가. 비단 이성이나 동성간의 사랑뿐만 아니라 부모가 자식에게, 사람이 사람에게, 또 그게 무엇이었든 간에 사랑이 깃들 수 있는 모든 것이 지극히 사적일 수록 사랑은 평등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앞으로도 사랑은 그런식으로 곧 우리의 이야기가 될 그들만의 서사를 만들어내는 게 아닐까.
.
.
열일곱 단편 중 태연 pick's
「달빛」 _기 드 모파상
「낯선 당신, 다시 입 맞춰 줘요」 _대프니 듀 모리에
「'현명한 선택'」 _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그 애」 _캐서린 앤 포터
「파울리나를 기리며」 _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
「광란의 40번대 구역에 꽃핀 로맨스」 _데이먼 러니언
.
.
🔖"언니, 우리는 사람을 사랑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사랑을 사랑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 그리고 그날 밤 언니의 진정한 애인은 달빛이었던 것 같아." p15_달빛 중
🔖우리는 눈을 마주 보았고, 합류하는 두 강물처럼 우리의 영혼 또한 하나로 합쳐졌다. 밖에서는 빗물이 지붕 위로 떨어졌고, 벽을 때렸다. 그리고 나는 그 비가 다시 태어나는 온 세상이며, 그것을 무시무시하게 커 가는 우리의 사랑이라고 해석했다. p238_파울리나를 기리며
.
.
#사랑의책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hdmh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