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만드는 일 - 한 권의 책을 기획하고 만들고 파는 사람들은 어떻게 움직일까?
박혜진 외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은 시인 김수영이 태어난 지 100년째 되는 해다. 1921년에 태어나 1968년에 사망한 그는 요절한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 번도 늙어 본 적 없고 한 번도 낡아 본 적 없다고 기억되는 사람. 그의 이른 죽음이 그를 계속 살게 하는 건 아닐 것이나 젊음 그 자체로 박제된 그는 지금까지도 '기괴한 청년'의 상징이 되었다. 100년 전에 태어난 사람의 언어가 100년 후에도 현대적 감각으로 읽힌다는 사실이야말로 사건일 것이다. 언어는 인간의 도구만이 아니다. 그것은 변화하는 사유 그 자체이기도 해서 어떤 유행보다 더 빨리 소모되고 교체된다. 그럼에도 기어코 소모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작가를 우리는 문호라 부른다. '김수영'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p.11~12)

- 민음사에서 나온 책들이 표지에 차곡차곡 쌓여있다. 민음사의 책들을 만든 이 열 명이 쓴 책 만드는 이야기다. 표지에 나온 책만큼 두껍지 않고 오히려 너무 얇아서 놀랐다. (뭔가 더 내밀하면서도 흥미로운 이야기가 나와야 되는데, 원고가 끝나버리고 마치 계주 선수처럼 다음 저자에게 지면을 넘긴다)

- 인용문은 편집자 박혜진이 쓴 「김수영의 편집자」첫머리 일부다. 잘 다져진 한 문단의 글을 여러번 읽어본다. 김수영에 대한 저자의 마음이 읽힌다. '한 번도 낡아본 적 없는' 김수영을 읽고 싶어지는 새벽이다. 다시 읽지 않고서는, 부끄러움이 가시지 않을 것 같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