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전 손택 - 영혼과 매혹
다니엘 슈라이버 지음, 한재호 옮김 / 글항아리 / 2020년 9월
평점 :
일흔을 앞두고도 손택은 나이 든 여성처럼 행동하지 않았다. 앤드루 와일리는 말한다. ˝만년에도 손택은 여전히 스물한 살 같았습니다. 언제나 모르는 것에 관심이 있었죠. 많은 사람이 만년에 이르면 자기가 아는 것에 의존하죠. 하지만 수전은 어제 태어나서 여전히 온 세상이 신세계인 것처럼 살았습니다. 손택은 나이를 ‘기괴한 것‘이라고 불렀다. 그는 평생 해온 일을 여전히 하고 있었다. 손택은 60대 후반에도 일상을 치열하게 살아가며,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예술과 정치의 새로운 발전을 접하고 흥분할 줄 알았고,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살았다.(p.399~400)
신좌파와 과감히 결별한 뒤 정치적 방향성을 새로이 정하려는 욕구도 분명한 동기 부여가 되었다. 대규모 정치운동을 지지하는 대신, 이제 그는 좀더 현실적인 프로젝트에 가담했다. 다른 작가들과 함께 전 세계의 수감된 작가들의 글을 읽는 공개 낭독회를 조직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수감된 헝가리 소수당 지도자 미클로시 두러이와 터키에서 수감된 평화운동 당원 알리 타이군, 폴란드에서 투옥된 문학 교수 즈비그니에프 레비츠키, 대한민국의 김현장가 김남주를 석방할 것을 요구하는 감동적인 서한의 초안을 작성하고 서명해 편집자에게 보냈다. 또 헝가리의 시인 겸 정치가 샨도르 레자크를 박해하는 데 항의했다. 벵골 시인 다우드 하이더를 방글라데시로 추방하겠다고 위협하는 데 항의하는 운동도 벌였는데, 방글라데시에서는 이슬람교도 민병대가 그를 죽이려고 벼르고 있었다. 네이딘 고디머는 이런 현실 참여가 손택에게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도덕적 의무였다고 말한다. ˝수전은 자기가 가진 지성의 힘을 수많은 대의명분을 위해 싸우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는 단지 개인으로만 살아가기를 거부하기로 했죠. 이것은 수전에게 실존적인 딜레마였고, 그는 다른 작가들과는 달랐어요. (...)단순히 작가로만 머물 수가 없었습니다. 편견과 억압에 저항하는 일에 공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개인적인 책임감을 느꼈어요.˝(p323~324)
* 수전 손택(1933~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