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한나절 - 긴 숨을 달게 쉬는 시간
남영화 지음 / 남해의봄날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엔 똑같이 생긴 거라곤 하나도 없고 또 그렇게 생긴 이유가 다 있다. '왜 이렇게 생겼을까?' 그 궁금증이 사라지면 세상에 호기심들이 그만큼 사라지는 것이다.
호기심이 없다면 알려고 하지 않을 것이고, 알려고 하지 않으면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자연이 숨겨놓은 신비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을 수도 없게 된다. 여태 다들 그냥 무심히 살아도 아무 불편함도 못 느꼈으니 그런 얘기쯤 알지 못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인생, 그냥 사는 것과 의미를 알고 사는 것은 삶의 질이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세상 모든 일은 누구에게나 엇비슷하게 일어나지만 그 속에 담긴 의미들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면 더 사랑하게 되고 더 사랑하면 행복해진다. 이 모든 것이 커다란 삶의 행복을 발견하기 위한 작은 퍼즐 맞추기 같은 것이다. 그래서 간혹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은 듯이 물어보면 어른들 역시 대답을 잘 못한다. (-p.184)

어느덧 나는 부모의 품을 떠나 어른이 되어 있고, 이젠 내 아이들을 자신의 좋은 땅을 찾아 떠날 때까지 잘 성숙시키기 위해 힘을 모은다. 당연하게도 잘 성숙되지 못한 열매는 새싹을 틔울 수 없으니 애지중지 좋은 양분을 주기 위해 애쓰지만, 자연을 보며 늘 한 가지 되세기는 준엄한 가르침은 부모의 그늘 아래선 자식이 잘 되지 않는다는 대자연의 진리다.
자식 귀하다고 품으려고만 하다 보면 오히려 그 품이 자식을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그늘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그저 자신이 생긴 모양 그대로 가장 잘 떠날 수 있는 방법을 택해서 떠나보낼 때 새로운 숲이 생겨나듯 자식들도 새로운 인생을 개척할 수 있으리라.(-p.190)

건강한 숲은 종이 다양한 숲이다. 큰 나무와 작은 나무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골고루 섞여야 더 건강한 숲을 이루며 건강한 숲은 나무들끼리 서로 뿌리로 영양분을 주고받으며 긴밀히 공생한다. 영국의 산림학자인 수잔 시마드도 '나무가 서로와 대화하는 방법'이란 제목의 테드 강연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나무들은 서로 경쟁보다는 화합을 택한다는 것이다. 큰 나무 사이에 어린 묘목이 자라 햇빛을 잘 받지 못하면 주변의 어른 나무들이 뿌리로 영양분을 나눠 주어 그 나무가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 큰 나무들도 마찬가지로 머넞 잎이 난 나무는 주변의 아직 잎이 나지 않은 나무에게 영양분을 나눠 주어 잎이 날 때까지 시간을 벌어 준다. 그러다 그 나무가 잎이 무성해져 햇빛을 더 잘 받는 환경이 주어지면 이번엔 그 나무가 자신에게 영양분을 나눠 줬던 옆의 나무를 또 도와준다. 이렇게 숲은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는 거대한 공동체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대자연의 섭리인가.(-p.1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