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기원 - 난쟁이 인류 호빗에서 네안데르탈인까지 22가지 재미있는 인류 이야기
이상희.윤신영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고인류학의 입문서.
연구분야는 약간씩 다르지만 리처드 도킨스나 스티븐 제이 굴드의 국내출판본을
끙끙거리며 읽어낸 경험으로는
과학동아에 연재된 내용을 책으로 묶어낸
이상희 교수님의 글은 쉽고 흥미진진하다.

개인적으로는 저자께서 호프 자렌의 ≪랩걸≫과 같은 책의
이상희 버전을 써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데 현재 가장 방대한 학문인 생물학의 근간을 이루는 진화론의 중심에 있는 ‘진화‘라는 개념은 사실 아무런 가치(또는방향성)가 들어 있지 않습니다. 딱히 옛날보다 더 나아진다는 뜻도, 더좋아진다는 뜻도 아닙니다. 학계에서 동의한 진화의 뜻은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난 유전자 빈도의 변화입니다. 진화했다는 뜻은 변했다는 뜻이지 더 나아졌다는 뜻은 아닙니다. (291~292쪽)

이 모든 호모속 종 혹은 집단이 현대 인류(호모 사피엔스)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 질문은 호모 사피엔스의 기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두 가지 대답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아프리카 기원론(Recent African origin of modern humans, 완전 대체론)입니다. 호모 사피엔스는 인류의 진화 역사에서 보면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10만 년에서 6만 년 전정도에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새로운 종이라는 관점입니다. 이에 따르면 새로운 종인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로 확산하면서 이미 각 지역에서 살고 있던 원주 집단과 하나도 섞이지 않았으며,
(서로 다른 종에 속하므로), 우월한 문화와 언어에 힘입어 원주 집단과의 경쟁에서 이겼고, 원주 집단은 전멸했습니다. 최근 발견된 에티오피아의 허토(Herto)에서 나온 화석이 주축으로, 이들은 호모 사피엔스의 아종인 호모 사피엔스 이달투(Homo sapiens idaltu)로 불립니다. 이 집단이아프리카에서 확산하여 전 세계로 퍼졌으며, 원주 집단과는 연계가되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또 하나는 ‘다지역 연계론(Multiregional origin of modern humans, 혹은 다지역 기원론)‘입니다. 다지역 연계론은 현생인류가 한 곳에서 기원한 새로운 종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현생인류의 조상이 하나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각 지역의 집단끼리, 그리고 다양한 시점의 집단끼리 계속 문화와 유전자를 교환하면서 200만 년 동안 계속돼 왔다는 관점입니다. 그동안 멸종하거나 새로 발생한 집단들은 종 아래의 분류 단위인 집단일 뿐이지, 새로운 종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307~30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