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와 거장 - 위대한 창의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데이비드 W. 갤런슨 지음, 이준호 외 옮김, 박성원 감수 / 글항아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톤다운된 푸르름과 청록이 대비되는 가운데 세잔의 그림이라니!

두툼한 양장본은 (책의 가격은 좀 상승하지만 -.-;) 귀함과 가치또한 높인다.

표지가 주는 귀한 만큼 새로운 시각과 논리가 꽉 찬 책이었다.

책장을 펼치자 하늘색같은 밝은 남색의 코발트로 인쇄된 글자책

책의 끝장까지 검정활자가 없는것 또한 신선하다.


우리글로는 천재와 거장으로 번역되었지만

원제는

OLD YOUNG

MASTERS GENIUSES로 묘한 댓구를 이룬다.

한 번쯤 생각해 본 질문

" 천재적 예술가는 태어날 때부터 넘사벽? 타고난 것인가? 오랜시간 연마를 통해 예술성을 이루는 것인가?"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다음의 질문이 다시 이어진다.

"예술가의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가? "

저자는 1장에서 이러한 우리의 질문을 가설로 세우며 세잔과 피카소로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나는 그림을 통해 탐구한다.

폴세잔

나는 탐구하지 않는다. 발견한다.

파블로 피카소

2장에서는 예술적 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수치화할 수 있는 근거를 찾는데 작품의 가격? 캔버스의 크기? 최대판매수? 하지만 이것에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생각할 수 있는 변수가 너무 많다. 작품의 크기는 대게 가격에 비례하는 경향성이 있다. 또한 다작가와 소수의 탁월한 그림을 남긴이와 판매수 비교는 어렵다. 또한 살아있을 때는 빈곤에 시달리다가 사후에서야 인정받은 (대표적으로 고흐. 너무 많다.) 작가의 작품을 타고난 천재와 노력형 거장의 근거가 되기 어렵다.


경제학자인 저자는 예술가에게 최고의 작품을 탄생시킨 시기에 주목하여

경매가치가 높은 작품을 제작한 나이

교과서에 가장 많은 삽화가 실린 나이

회고전에서 가장 비중있게 다뤄진 작품을 제작한 나이

주목하며 더 많은 미술가들을 정량화된 통계로 설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미켈란젤로와 라파엘로의 근대이전의 화가와

6장에서는 다른 분야 즉 조각가, 시인, 소설가, 영화감독, 건축가를 살펴보며

시행착오를 거치며 인생의 후반부에서 서서히 빛을 발휘하는 실험적 혁신가 거장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식화하여 반짝이는 창조를 이루는 개념적 혁신가 천재 예술가를 보여준다.

피사로는 개념적 혁신가였던 쇠라를 보며 자신도 이러한 부분을 창작의 기법에적용해 보려했으나 자신의 성격적 특성임을 깨닫고 다시 실험적 혁신가로 되돌아온다. 우리는 어떠한가? 자기 자신에게도 자녀에게도 탁월한 천재이거나 (이왕이면 이 걸 더 바랬던 것 같아.) 노력하는 모습이라고 보이길 바라지 않았던다. 뭔가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늘어놓고 아이의 재능을 적기에 놓칠까봐라는 핑계를 대고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괴롭히고 있지 않았는가 내 삶의 반성까지 이어졌다.

내 삶의 일상에서

별 것 없는 재료로 퇴근 후 뚝딱 맛난 음식을 만들어내는 천재성과

생가보다 별 성과 없었던 오늘의 업무를 내일은 하나만 더 변화해 보리라 나 자신을 토닥이는 거장의 정신으로 나의 하루를 산다!

책을 다 읽고나서 가만히 양손으로 감싸들고 있는데 기분이 좋다.

"정말 멋진 나! 나의 하루는 거장이며 천재의 하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