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성서 1 숨겨진 성서 3
윌리스 반스토운 편찬, 이동진 옮김 / 문학수첩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또 하나의’, 혹은 ‘다른 나머지’ 로 번역될 수 있는 ‘The other'. <숨겨진 성서>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지만, 이 책의 원제는 <The Other Bible>. 그러니까 ‘또 하나의 성서’ 쯤으로 이해해도 될 것이다. 현재의 성서에서 제외된, 또는 누락된 부분들을 모아 또 하나의 성서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책에 실린 내용들이 정식으로 성서에 실리지 못한 이류라거나 비주류 모음집이라는 편견은 버려야 할 듯싶다. 말 그대로 현재의 성서에서 제외된 경전들을 묶은 ‘또 다른 성서’ 일 뿐이다. 하지만 왠지 경건한 성서의 이미지를 벗어나 읽는 재미가 있다. 1천5백 년 동안 금서로 묶여 있었다니, 어쨌든 자유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는 데 행복을 느끼며 책을 펼쳐 들었다. 

이 책에 의하면 “성서, 즉 바이블은 개인이나 여러 사람이 생활의 준거로 삼는 책들의 모음”을 말한다. <숨겨진 성서>에 실린 문헌들이 성서에 채택되지 못한 이유는 뭘까. 이 책의 편찬자인 윌리스 반스토운은 서문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구약 성서가 확정된 이후, 그리고 기원후 수백 년 동안 하느님의 인도를 받은 저자들이 계속해서 거룩한 문헌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많은 문헌이 놀라우리만큼 아름답고, 종교적인 중요성을 지니며 경전으로 공인된 성서들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 유대교의 이러한 문헌을 유대교 비경전(슈데피그리파)이라고 하고, 그리스도교의 문헌은 그리스도교 비경전(아포크리파)이라고 한다. 그노시스파의 문헌은 그 당시에는 경쟁 상대인 정통 교회측이 이단으로 몰아부쳤다...” 결국은 종파간, 파벌간, 정치적ㆍ종교적 대립 때문이라는 시각이다.    

인디아나대학교 비교문학 교수로 재직 중인 윌리스 반스토운(Willis Barnstone) 은 비경전 문헌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통찰력 있는 설명을 한다. 해박하고 신뢰 있는 그의 서문을 읽는 것도 지적인 즐거움으로 다가온다.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이 책의 내용이 문학작품을 감상한 것처럼 혀끝에서 여운이 남는 것은 교수인 동시에 시인이자 철학자인 편찬자의 이력도 한몫 했을 터다. 각 문헌들 앞에 곁들인 해설도 낯선 문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숨겨진 성서>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구약 성서와 관련된 문헌을 다룬 1권은 뛰어난 상상력, 기존의 성서 내용을 뒤집는 발칙함(?), 재치와 유머로 놀라운 충격을 준다. 단테를 비롯한 많은 시인들이 이 비경전 문헌들에서 문학적 영감을 받았을 정도라고. 인간의 창조와 우주의 구성, 영혼 등에 관한 부분은 단순히 비현실적인 환상이라고 치부하기 보다는 진지하고 철학적 의문을 던진다.    

그노시스파의 세계관을 다룬 ‘세상의 기원에 관하여’는 기존 성서의 창세기를 뒤집은 무척 충격적인 내용들이 나온다. 예로 아담과 이브를 창조한 신은 다르다. 또한 아담을 창조한 신들과 선악과로 유혹하는 뱀에 대한 시각이 기존의 시각과 정반대로 묘사된다. 여자가 남자의 갈빗대에서 나왔다고 거짓말하자는 신들의 모의 장면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하가다’문헌은 창조설화를 특히 문학적이고 유머러스하게 묘사한다. 신의 하루는 인간의 천년과 같다. 따라서 세계를 완성하는 데 걸리는 6일은 인간 세상에서는 6천년과 같은 것이다. 신의 시계로 보면, 1시에 사람의 창조를 계획하고, 4시에 아담을 창조하고, 9시에 동산의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는 금지를 내리고, 10시에 아담이 그 명령을 거역하고, 12시에 낙원에서 쫓겨난 일들이 모두 하루 동안에 이루어진다.

이 책에 실린 문헌들의 가치를 떠나, 한편의 문학적 텍스트로서 감상해도 훌륭한 작품들이다. 기발한 상상력, 종교적, 철학적 가르침은 일반 문학작품들을 넘어서는 감동도 있다. “역사의 흐름이 달리 진행되어서 하느님의 인도를 받은 이 문헌 가운데 일부가 오늘날의 성서에 포함되었더라면, 우리는 종교 사상의 전통을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에서 이해하게 되었을 것”이라는 편찬자의 말처럼 비경전이라 하여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각으로 이 책을 본다면 보다 넓은 시야를 지니게 되지 않을까 싶다. 금서에서 벗어나, 보다 풍부한 내용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다는 건 오늘날의 우리의 정신이 그만큼 성숙하다는 방증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nne of Green Gables (Mass Market Paperback) Anne of Green Gables 1
루시 M. 몽고메리 지음 / Bantam / 198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원서로 여러 출판사의 책들이  나와 있었지만, 가격이 가장 저렴하고 평들도 대체적으로 좋은 것 같길래 반탐출판사의 것으로 결정을 했다.  그리고, 표지의 수채화같은 그림은 또 얼마나 사랑스럽고 상큼한가.

그러나, 포장을 뜯고 나온 이 책은 기대 이하였다.  알라딘에 소개되어 있는 판형보다 훨씬 작은데다, 표지의 사랑스러움을 들추고 내지를 보면 회색빛의 재생용지 같은 데에 빽빽하게 글씨가 채워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급스러운 종이질과 선명한 인쇄, 읽기 좋은 글씨크기에 익숙해 있던 분이라면 이 책에 엄청난 실망을 할 듯 싶다.  아마도, 반탐 출판사의  페이퍼백 책은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기 위해 만들어진 듯하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나라가 책을 얼마나 잘 만드는 지 새삼  느끼게 되었다. 책이란건 단지 읽고 버릴 것이 아니라 나중에 또 보게 되고, 늙어서도 젊은 시절의 손 때가 묻은 책을 보면서 그 때의 느낌을 떠올릴 것이 아닌가. 또한, 읽으면서 눈의 피로도도 고려해야 한다.  그럴려면 책의 품질은 정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이 책도 나름대로 장점은 있다. 일단 굉장히 가볍다는 것이다. 300페이지가 넘는데도 손에 들면 새털같이 가벼워서 책을 들었는지 말았는지 느끼지 못할 정도다. 들고 다니면서 읽기에는 더 할 나위 없이 좋은 듯. 영어 공부할 목적으로 이 책을 선택하거나,  차 안에서 부담없이 읽을 원서를 찾는 분이라면 이 점은 큰 메리트가 될 것 같다. 

또한, 대화체가 많아서 회화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책의 품질에 상관하지 않는 분들이라면, 저렴한 가격에 빨강머리 앤  원문을 구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듯.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5-07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가벼우니까 좋지않아요?

천왕성 2022-07-28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의 인쇄질이 그다지 좋다고 보여지지는 않았습니다. 맨 첨엔 저도 약간의 실망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잠시 후에 바로 이 책이 아주 최선은 아니지만 정말 좋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자세히 보니 인쇄질도 약간 굵은 서체를 사용해서 그렇지 조금도 나쁘지않았습니다. 지금은 너무 좋아서 밤에 잘적에도 머리맡에 두고 자는 책입니다. 처음에 실망을 많이 했던 부분은 인쇄보다도 제본이 뻣뻣하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제본풀을 특수한 것을 사용한 것인지 쫙 펼쳐도 쩍하고 벌어져서 터지지않았습니다. 정말 신기하더군요. 쫙 펴지니까 넓게 볼 수 있고 가벼우니까 누워서보기도 좋고 휴대하기로는 최상이고 작으니까 다루기가 수월하고 정말 너무나 좋더군요. 정말 품질 좋은 특수풀이 있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정말 서구인은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구나하고 생각했습니다. 책은 뭣보다고 될 수 있으면 손으로 다루기 좋을만큼의 크기와 무게라야 하는데 한국의 책들은 그야말로 쓸데없이 크고 무거운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책을 가장 저급하게 취급하는 행위이며 가장 엉터리로 만드는 부분입니다. 아마 서구인들이나 책을 제대로 만드는 나라 사람들이 보면 퍽이나 이상하게 볼 부분입니다. 새하얀 백지에 펑퍼짐한 크기 게다가 쇳덩이 비슷한 무게...과연 이게 책인가 하는 생각마져듭니다. 책이라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하는 것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서구쪽과 중국, 일본을 통틀어서 한국만큼 책을 새하얀 백지에 큼직하고 무겁게 만드는 나라는 없을 겁니다. 한국인은 새하얀 백지가 책에 가장 좋은 재료라고 생각하는 모양인데 사실은 완전히 그와 정 반대 아닐까요.. 백설처럼 새하얀 책을 보고 있노라면 내 혼백이 빠져나가버리는, 즉 그 백설처럼 새하얀 종이가 나의 정신을 앗아가버리는 듯한 느낌마져 듭니다. 깊이 생각해볼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The Picture of Dorian Gray (Hardcover) - Collector's Library Collector’s Library 159
오스카 와일드 지음 / Complete&Unabridged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번역본과 원서 abridged 판으로 이미 감상을 했지만, unabridged 판으로 다시 감상하고 싶어 구입한 책이다.

소개되어 있는 판형이 다른 출판사의 책들보다 현저히 작아서 너무 작은 책이 아닐까 염려를 했지만, 양장본에 표지가 무척 예쁘고 고급스러워 보여 호기심으로 이 책을 주문했다.

막상 책을 받고 나서는 한참을 고민을 해야 했다. 책크기가 매우 작은데다 그만큼 작은 글씨, 이 책을 읽다간 시력이 나빠질 것 같은 불안감... 그리고, 책 표지에 대한 실망감. 사진에 보이는 것은 하드커버를 싼 코팅된 종이표지 그림이고, 그 종이를 벗겨내면 붉은 천으로 싸인 마치 성경표지같은 표지가 나온다 ( 대학교 교재의 하드커버 표지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 괜히 돈만 낭비했다는 후회가 밀려왔지만, 그래도 책이 워낙 깜찍하고 예뻐서 읽지 않더라도 소장용으로 간직하자는 생각을 하며 위안을 했다.

받은 지 며칠 지난 지금은 구입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며, 다른시리즈도 더 살까  고려중이다. 옥스포드나 반탐, 하퍼스 콜린스에서 펴낸 페이퍼백 원서들보다 월등한 종이질이 마음에 들고, 책의 가장자리를 금박으로 둘러 고급스러워 보일뿐 아니라 변색될 우려도 적을 것 같다.  읽어 보니 글씨도 다른 원서들과 비슷하여, 우려와는 달리 눈이 생각보다 피로하지도 않았다.

책이 정말 작고 예뻐서 돈만 있다면 이 시리즈를 수집품으로 구입하고 싶을 정도다.  단, 읽기에는 이 책보다 큰 판형이라면 더 좋았을텐데 아쉬움이 들지만, 그랬다면 책가격이 더 비싸질 터.

책을 사랑하는, 예쁜 책을 갖고 싶은 분들께는 만족할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