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론 ㅣ 현대사상의 모험 10
에릭 홉스봄 지음, 강성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12월
평점 :
1.
요즘 같은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역사는 두가지 정체성을 가진다. 하나는 베스트셀러. 하나는 무용함. 서점에 가면 베스트셀러 목록에는 항상 먹을거리에 대한 역사, 성의 역사 등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역사서적들이 존재하지만 정작 우리 세계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역사성'을 언급하기 시작하면 우리 대부분은 "아..그놈의 역사성..'이라며 속으로 인상을 찌뿌릴 것이다. 세상이 이모양인데 어떡해요? 라고 되묻는 옆사람에게 "역사성"을 언급했다가는 비웃음 사기 십상이다. 그러니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답변들은 이제 역사성에 기반한 정치적 행위가 아니라 "니 자신의 열정에 몰두하라"가 되었다.
비단 몇년전까지만 해도 역사라는 것이 "지금과는 다른 세상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유의 방법"이었던 것에 비하면 이 단어의 쓰임은 정말 많이 바뀌었다. 아마도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더이상 단일하게 묶일 수 있는 사회라는 공간이 해체된 결과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역사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 욕구를 갖는 것은 1.또다른 재미있는 오락을 찾거나 2.이제는 천대받는 '역사성'이라는 계몽의 힘을 재확인하려는 정치적 의지-중 하나일수밖에 없다.
2.
100살을 바라보는 이 맑시스트 역사가가 말하는 역사란 후자에 속하며 이 책을 읽는 우리의 입장 또한 후자일수밖에 없다. '정치'라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사. 즉 현재의 신화들을 타파하고 야만의 요소를 파악하며 보다 나은 상상과 기획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사 말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홉스봄의 역사는 어떤 역사인가? 인간사회는 민중의 생활,귀족의 생활,경제,문화,종교 모든 요소가 모여 이루어진 총체이자 지난 시간의 잔여물과 현재의 구성물이 같이 축적된 흐름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역사라면 이 모든것을 다루는 "전체사(total history)"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그리고 한편으로는 신화를 깨는 과학으로서 역사가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홉스봄의 역사관이다. 이를 위해서 홉스봄은 방법론적으로는 맑스주의의 최소공리(생산양식 우선시와 체제내 모순에 따른 변증법적 발전)에 기반하고 역사가의 윤리로서는 보편성과 겸손,끊임없는 과학적 검증,긍정적인 당파성을 제시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노학자가 꽉 막힌 좌파 역사가는 아니다. 그는 역사가는 끊임없이 연구방법을 개발해나가야 하며 필요하다면 심리학,경제학, 모든 것에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전체사에 대한 지향과, '역사성'-즉 지금 존재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물질적인 것과 사람들의 관념체계의 상호작용 결과-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실증주의와 계량사의 위험성은 바로 이를 망각한 것에서 나온다.
3.
이 격심한 혼란과 지나친 자유의 시기에 홉스봄의 말은 아직 '역사' 혹은 계몽을 믿는 사람들에게 "그래 역사를 버릴수는 없지"라는 한줄기 믿음을 전해준다. 그러나 그 다음의 문제가 도래한다. 정치는 믿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홉스봄에게 전수받은 '신화를 깨는 역할'인 역사에 대한 믿음은 어떤 식으로든 실천되지 않는다면 무력하다. 우리가 역사가라면 그의 윤리강령을 실천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겠지만 우리는 역사가가 아니다.더군다나 홉스봄 스스로도 역사가들은 "소극적 힘"밖에 가지지 못함을 한탄하며 마지막 장을 마무리한다.
우리가 정치적 의지로써 이 책을 읽어냈다면, 이 책을 어떻게든 실천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역사론 독해의 완성일텐데, 우리 스스로의 정체성마저 의심하는 시대에 우리는 역사성을 통해서 누군가를 설득할 수 있을까? 아니 일단 스스로부터 설득할 수 있는지 나 자신에게 물어봐야 하지 않을까.
사실 그렇게 생각해본다면 역사론의 독해 후 남는 것은 허탈함이다. 초반에 제시했던 역사를 알려는 두가지 이유-교양이냐 정치냐-는 우리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교양으로서의 역사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허탈함. 타인을 설득할 수 있는 힘을 잃은 채 자기 자신의 윤리로서,혹은 종국에는 흩어지고 말 타인과의 수다에만 쓰이는 지식만큼 더 '교양적'인 것이 어디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