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도움을 준 자는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
이로부터 거의 항상 유효한 일반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즉 타인을 강하게 하는 자는 자멸을 자초할 뿐이라는 것이다. 타인의 세력은 술책이나 힘을 통해 증대되는데, 이 두 가지는 그로 인해서 강력해진 자가 두려워하는 것이다.-29쪽
위대한 인물의 모방
...신중한 사람은 항상 탁월한 인물들의 방법을 따르거나 뛰어난 업적을 남긴 인물들을 모방함으로써, 비록 그들의 능력에 필적하지는 못할지라도, 적어도 그것에 근접하고자 한다. 그는 노련한 궁사가 목표물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활을 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동해야 한다. 그는 자기 활의 힘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높은 곳을 겨냥하게 되는데, 이는 그 높은 지점을 화살로 맞히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목표물을 맞히기 위해서 그곳을 겨냥하는 것이다.-38쪽
더욱이 군주가 타인을 해치지 않고 명예롭게 행동함으로써 귀족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그렇게 행동함으로써 인민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인민들의 목표는 귀족들의 목표보다 명예롭기 때문이다. 즉 귀족들은 단지 억압하고자 하는 데에 반해서 인민들은 단지 억압당하는 데에서 벗어나고자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군주는 적대적인 인민들로부터 자신을 결코 보호할 수 없는데, 인민들은 우선 숫자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에 적대적인 귀족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일은 그 숫자가 적기 때문에 어렵지 안핟. 적대적인 닌민들로부터 군주가 당할 수 있는 최악의 사태는 그들로부터 버림을 받는 것이다. 그러나 적대적인 귀족들로부터는 단순히 버림을 받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들이 군주에게 반역행위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68-9쪽
전쟁은 군주의 직업이다.
군주가 권력을 잃게 되는 주된 이유는 군사를 게을리 한 탓이며, 권력을 얻는 이유는 군사에 능통한 덕분이다. -102쪽
윤리적 공상과 엄연한 현실
이론이나 사변보다는 사물의 실제적인 진실에 관심을 경주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션실 속에 결코 존재한 것으로 얄려지거나 목격된 적이 없는 공화국이나 군주국을 상상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이 어떻게 사는가"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바를 행하지 않고 마땅히 해야 하는 바를 고집하는 군주는 권력을 유지하기 보다는 잃기 십상이다. 어떤 상황에서나 선하게 행동할 것을 고집하는 사람이 많은 무자비한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다면 그의 몰락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권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군주는 필요하다면 부도덕하게 행동할 태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107쪽
... 그렇다면 나는 인간이란 자신의 선택 여하에 따라서 사랑을 하지만, 군주의 선택 여하에 따라서 두려움을 품기 때문에, 현명한 군주라면 타인의 선택보다는 자신의 선택에 더 의존해야 한다고 결론짓겠다. 다만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미움을 받는 일만은 피하도록 해야겠다.-120쪽
옛 통치에 불만을 품은 자들은 새로운 통치에 대해서도 불만을 품는다.
...이전의 정권에서 만족했기 때문에 새 군주에게 적대적이었던 사람들ㅇ느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일이 이전 정권에 불만을 품고서 그에게 호의를 느끼고 그를 도운 사람들을 자기 편으로 계속 유지하는 일보다 훨씬 더 쉽다는 점은 명백하다.-149-50쪽
차악을 선으로 받아들여라
어떤 정부도 안전한 정책을 따르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모든 행위는 위험을 수반한다는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사물의 도리상 하나의 위험을 피하고자 하면 으레 다른 위험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려 깊은 사람은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고, 가장 해악이 적은 대안을, 따라야 할 올바른 대안으로 선택한다.-158쪽
운명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운명은 자신에게 저항하기 위해서 아무런 힘이 조직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 그 위력을 떨치며, 자신을 제지하기 위한 아무런 제방이나 둑이 없는 곳을 덮친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이러한 격변의 근원이자 무대인 이탈리아를 살펴보면, 당신은 이 나라가 바로 제방이나 방파제가 없는 들판인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나라가 독일, 스페인 및 프랑스처럼 적절한 방파제로 보호되어 있었더라면, 홍수가 그렇게 커다란 격변을 초래하지 않았거나, 아니면 아예 홍수마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171쪽
...우리는 우리의 대처방식이 시대와 상황에 적합할 때 성공하고, 그렇지 못할 때 실패한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추구하는 목표, 곧 영광과 부에 대해서 인간이 상이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보기 때문이다.-172쪽
운명은 대담한 자들과 벗한다.
따라서 나는 운명은 가변적인데 인간은 유연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처신방법이 운명과 조화를 이루면 성공하고, 그렇지 못하면 실패한다고 결론짓겠다. 나는 신중한 것보다는 과감한 것이 더 좋다고 분명히 생각한다. 왜냐하면 운명의 신은 여신이고 만약 당신이 그 여자를 손아귀에 넣고자 한다면, 그녀를 거칠게 다루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17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