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나 도발적인 제목인가? 하지만 내용은 더 도발적이다.

 나는 아내를 사랑한다. 그런데 아내는 다른 남자와 결혼하겠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와 이혼해 달라는 말인가? 아니다. 나와도 헤어지기 싫단다. 그렇다면 어쩌란 말인가? 나는 도저히 참을 수 없다. 그 남자와 헤어져! 아내는 그 남자와 헤어질 수 없단다. 그럼 나와 이혼해! 내가 원하면 그렇게 해주겠지만, 이혼하기는 싫단다. 그놈도 좋고 나도 좋다니..난 이혼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그러면 사랑하는 아내를 그 나쁜놈에게 온전히 뺏기게 된다. 그렇다면 나는 아내의 반이라도 소유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는 걸까?

 

 소위 불륜의 전성시대라고 하지만, 작가는 불륜이라는 소재에 대해서는 관심조차 없다. 작가가 문제 삼는 것은 불륜 같은 사소한 문제가 아니라, 일부일처제(monogamy)에 대한 문제제기다. 불륜이 그렇게 광범위하다면 결국 문제인 것은 제도인 것이다. 이러한 사랑과 결혼의 본질에 대한 물음은 축구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병렬적으로 제시된다. 축구는 본질적으로 두 팀이 싸우는 것이고, 사랑도 두 사람간의 게임이라는 점에서 비슷하다.

 

 비슷한 이야기가 논픽션이었다면 재미있게 읽었을 것이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사실 마음이 대단히 불편했다. 주인공의 상황에 공감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누군가와 반씩 나누어 갖기 보다는 차라리 모두 갖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 아니겠는가? 자신의 애인이 바람을 피웠다고 죽인 유부녀가 있는 것처럼 인간이란 애초에 없는 대해서는 집착하지 않을 수 있지만, 빼앗긴 것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집착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정말로 예외적인 상황을 그려냈다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었다. 이 영화에 계속 병렬적으로 등장하는 축구는 이 소설이 그려내는 상황이 사실은 현실적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 장치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축구를 비롯한 스포츠는 대표적인 의사사건(pseudo event)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상의 비현실성에도 불구하고 소설은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든다. 길을 가면서 책을 읽은 것은 실로 오랜만이었다. 어떤 평자의 말마따나 주요한 등장 인물 3명만으로 눈을 떼지 못하는 장편을 써낸 것은 작가의 뛰어난 역량으로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찢겨진 산하 - 김구, 여운형, 장준하가 말하는 한국 현대사
정경모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티프 - 죽음 이후의 새로운 삶
메리 로취 지음, 권 루시안 옮김 / 파라북스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편 1 - 8.15 해방에서 6.25 전야까지 한국 현대사 산책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읽는 내내 눈을 뗄 수 없는 매력이 있다. 그것은 두가지에서 나오는데, 첫번째는 갑자기 떠난 두 남녀가 부딪히는 놀라운 상황설정이고, 다른 하나는 추리소설처럼 펼쳐지는 참나무, 박새, 청설모, 바람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에 대한 진실이다.
두 남녀가 처해진, 감금-폭설과 호기심에 의한-이라는 상황과 그 감금속에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는 과연 극단적인 상황 즉, 죽음과 삶이 한데 어울리는 상황에서 인간이란 어떤 존재가 되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인간의 두려움의 본령은 죽음이다. 그것은 피할 수 없으며, 예상치 못한 순간에 다가온다. 죽음은 곳곳에 널려 있다. 그러나, 그 죽음을 우리는 애써 외면한다. 작가는 아마도 그러한 죽음에 대한 망각, 죽음이라는 압도적 공포의 포위속에서 삶의 조그만 공간을 확보하는 삶의 상징이 性이라 판단한 듯 하다.

두 남녀는 자신들을 둘러싼 죽음의 공간에서 살아남기 위해 성에 탐닉하는데, 그들이 빠져든 자기 파괴적인 성은 '감각의 제국', '베티블루'의 지독한 집착과 닮아 있다. 그러나, 그들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그들은 행운아지만, 수동적이다. 수동적 인간이기에 제자리로 돌아온 그들이 경험하는 것은 복합적 모순이다.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겪은 경험은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그들을 지배하지만, 마치 그러한 일이 없었던 듯 살아가는 것이 첫번째 모순이라면,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영원할 것 같던 그 죽음과 삶의 경계도 희미해져 버리고 만다는 것이 두번째 모순이다.

어차피 경계는 존재하지 않는 지도 모른다. 4차원의 시공에서 유일하게 일방향성을 지닌 시간의 성질에 따라, 삶은 죽음으로 흐르는 과정이고, 사랑도, 행복도, 모든게 흘러간다. 작가가 이야기 하고 싶었던 것은 결국 흐르는 세월, 죽음 앞에서 작아지는 인간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