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는 바보야 믿음의 글들 33
윤기 외 / 홍성사 / 1985년 12월
평점 :
절판


[어머니는 바보야]를 읽었다. 
오래전에 이 책이 감동적이었다는 말을 얼핏 스쳐들었었다. 그러나 많은 시간이 흐른 다음, 오늘 아주 우연히 책을 들었다. 그리고 나는 완전히 책속에 빠져들었다. 

 고아들과 함께 살아온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아들의 이야기를 그린 이 글을 나는 오랫만에 눈물을 뚝 뚝 흘리며 읽었다. 내 눈물은 어떤 뜻을 가지고 있었을까. 고아들에 대한 동정의 눈물은 아니었다. 그들이 불쌍하기는 했지만 어제 [아홉살 인생]에서 읽은 것처럼 불쌍한 사람이란 스스로를 불쌍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에 동의를 하기 때문에 그들은 스스로를 불쌍하게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느꼈다. 그렇다면 내가 눈물을 뚝 뚝 흘리며 읽은 것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었다. 그렇다. 지금은 좀체로 볼 수 없는 바로 그 순수한 인간의 사랑, 그 사랑을 발견하면서 느낀 감동때문에 나는 울었던 것이다. 아주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 진정한 아름다움과 감동이 있음을 우리는 안다. 그러나 현실은 너무 많은 것을 잊고 살게 한다. 나와 가족, 친구들 말고 다른 사람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삶을 살아보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우선 나부터 다른 사람의 삶에는 관심을 갖지않는다. 내가 혼자 살아가기에도 숨이 차는 것을 핑계로 하든, 개개인의 불행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에서 발생한다고 믿고 있든 그것은 아무래도 좋다. 우리가 길을 가다가 흔히 만날 수 있는 많은 불행한 사람들 가운데 우리가 진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으로 대해주는 사람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육교 밑에서 구걸하는 간난아이를 업은 아주머니, 한 주먹도 안되는 야채를 놓고 팔고 있는 머리가 하얗게 쇤 할머니, 다방이나 음식점으로 껌을 팔러다니는 할머니, 그리고 불구의 몸으로 수레를 끌고 다니며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 그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전쟁이 끝나고 나서 전쟁고아들이 많이 생겼다. 그들이 먹고 입고 자기 위해 필요한 시설은 절대 부족했고 나라는 그 아이들을 보살필 수 없는 상태였다. 그리고 지금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선다고 하는, 과소비로 고민을 하는 우리의 사회에서 불우한 사람들과 어린이의 문제는 해결이 된 것일까.
 오히려 문제는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한다. 고아는 줄어들지 않고 사회의 부조리는 늘어만 간다. 사회복지에 대해서는 나라에서도 신경을 쓰지않고 있으며 개인의 이기주의는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차단하고 있다.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들고 있을까. 
 오늘 읽은 책 [어머니는 바보야]는 또 하나, 어머니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말하고 있다. 어머니는 언제 어느 때나 우리의 고향이다. 마음 속에서건 생활 속에서건 어머니라는 단어는 우리의 마음을 따뜻하게 한다. 우리들 영혼의 고향인 어머니, 그 어머니를 사랑하는 아들의 마음이 그 속에 들어있어서 우리는 감동의 눈물의 흘릴 수 있는가보다. 좋은 책을 읽고 잠시나마 마음이 깨끗해지는 것을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