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바흐의 추측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지음, 정회성 옮김, 강석진 감수 / 생각의나무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2 이상의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이다’

이 단순한 명제가 ‘페르마의 대정리’보다 더 어렵다는 것이 언뜻 이해하기 어렵다.

당시 무명이었던 수학자 골드바흐가 세계적인 천재 수학자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질문인데, 250년이 지난 지금도 이 문제에 대한 ‘증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페르마의 대정리보다도 훨씬 어렵다는 뜻일까? 아니면, 애초부터 증명할 수 없는 명제라는 것일까?

읽으면 읽을수록 수학의 세계는 ‘어렵다’기 보다는 흥미진진하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렇게 흥미있는 수학의 세계를 왜 우리는 지겹다고만 느끼게 배웠을까. 모든 것이 ‘교육관료’들의 책임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식민지 시절이나, 해방 이후 모두 일본의 뒤꽁무니를 그대로 쫓아왔을 뿐이니, 친일 세력들이 득세하던 교육계-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분야-에서는 당연히 일본의 교육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이다.

말이 잠깐 옆으로 샜지만, 페르마의 대정리나 골드바흐의 추측이나 이밖에도 무수히 많은 ‘정리’와 ‘추측’들이 수학자 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지적인 자극이 될 수 있도록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

수학자들은 몹시 불쾌하겠지만, ‘순수한 학문’인 수학의 세계에 이방인들이 발을 들여놓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지 말고, 수학의 순수한 기쁨을 많은 사람에게 나눠준다는 생각을 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