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갈릴레오 총서 3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옮김 / 영림카디널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을 좋아한다고 말하면, 대부분 ‘기분나쁜 눈’으로 쳐다본다. ^^ 농담이지만,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은 머리도 좋고, 공부도 잘 하는 사람이라는 선입견이 있다. 하지만, 나는 정말 수학을 못한다.

수학을 좋아하고, 싫어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수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다고 해야겠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정규 교육과정에 있는 수학은, 엄밀히 말하면 수학이 아니라 ‘계산풀이’다.

내가 이 책을 읽고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이 바로 우리나라 수학 교육이 얼마나 엉터리인가 하는 것이다. 나는 수학의 역사, 수학과 관련한 에피소드, 숫자의 신비를 다룬 이야기, 수와 종교적 의미, 수와 과학, 수와 우주 등 수 또는 수학, 또는 숫자와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좋아한다.

비록 수학(계산풀이)는 정말 못하고 수학을 좋아하지도 않지만, 내가 알았던 수학은 진정한 수학이 아니었다는 것만은 분명히 알겠다. 수학자는 엄밀한 의미에서 철학자와 과학자를 결합한 인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수(수학)의 세계는 마치 신성한 영역처럼 선택받은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는 금단의 영역이라는 생각이다. 물론, 누구나 들어가려고 하면 들어가겠지만, 그 속에서 살아남는 사람은 극소수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매력적인 세계가 수학의 세계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현재의 세계에서 풀렸다는 것이 놀라울 뿐이다. 물론 아직도 풀리지 않은 많은 ‘정리’와 ‘추측’들이 있지만, 인간의 이성이 이렇게 높은 차원까지 올라가고 있다는 것은 분명 놀라운 일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계산풀이의 산수만을 가르쳐서 일찍부터 ‘수학’ 앞에서 좌절하게 만드는 것은 어떤 ‘음모’가 있기 때문 아닐까? 수학은 정말 재미있고 아름다운 세계다. 이것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둘러싼 많은 이야기들이 정말 재미있게 전개되고 있어서, 한번 손에 들면 놓지 못하는 책이다. 이 책은 두 번째 읽었다. 같은 책을 진지하게 두 번 이상 읽는 책이 몇 권 안되는데, 수학 관련 책들은 대부분 두 번 이상 읽게 된다. -이건 나의 이해력 부족 때문이겠지만.

다음 책은 역시 수학과 관련된 ‘골드바흐의 추측’을 읽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