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어린아이, 인간 - 인간은 어떻게 유아화되었는가
클라이브 브롬홀 지음, 김승욱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제목부터 흥미를 끌었는데, 읽기 시작하면서 정말 흥미진진했습니다.
인류학, 생물학의 관점에서 현존하는 인류가 어떻게 진화를 했는지 아주 재미있는 이론 하나를 내 세워서 진화의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이론은 바로 ‘유아화’입니다. 우리의 선조들은 완전히 성숙하지 않고, 유아화하면서 집단화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집단화’라는 것은 힘이 약한 동물이 강한 동물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집단화와 완전 성숙의 관계는 인간과 비슷한 영장류인 침팬지, 보노보노, 고릴라 등을 통해 증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완전 성숙한 단계에 이르면 서로 강하게 경쟁하고 독립, 개별화하기 때문에 집단화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집단화 이후, 인류는 한 곳에 무리지어 살 수 있었고, 협동을 통해 사냥과 채집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유아화-즉, 생물학적 퇴화-는 암컷보다는 숫컷이 더 심해서 오늘날의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지적, 생물학적으로 열등한 것도 다 그런 이유랍니다. (뭐, 저는 이 이론에 동의하는 편입니다. ^^)
유아화가 덜 진행된 서구의 종족들이 더 폭력적인 것도 논리적으로 설명이 되고, 동양의 인종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유아화가 진행되었답니다. 물론 인종차별적인 내용은 아닙니다.
이 책에서 아주 흥미있는 내용 가운데, ‘동성애’ ‘사랑의 탄생’ ‘일부일처제’ 등이 있는데, ‘사랑’이라는 감정도 ‘암컷’ 즉, 여성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고 하는군요. 여성들은 자신에게 먹이를 가져다 주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능력있는 숫컷(남성)을 원하게 되는데, 그런 본능적인 행동에 의해 ‘사랑’이라는 감정도 생겼다는 것입니다. 물론 일부일처제도 그렇구요.
현재, 대부분의 남성 중심주의 사회인 가부장제는 남성들이 경제권을 쥐면서 이루어졌는데, 남성이 여성에게 이토록 폭력적인 이유가 바로 ‘여성에 대한 두려움’, 즉 다시 옛날처럼 모계 사회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 때문이라는군요. (전 모계 사회로 돌아갔으면 하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