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세계 - 대학교양총서 18, 개정판 대학교양총서 18
박세희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주에 [수학이 세계를 지배한다]를 다 읽었습니다.

이 책은, 한 과학자이자 철학자가 세계의 수학자를 찾아다니며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수학은 발견되는 것인가, 발명하는 것인가?’

가상의 수학자들은 각기 자신의 분야에서 수학의 본질에 관해 설명합니다.

수학은 인간의 ‘정신’에 의해 ‘발견’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지만, 역시 많은 부분에서 의문이 남습니다.

인간의 삶은 무수한 수학적 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제 수학적 응용이 적용되지 않고는

문명의 발달이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뿌리는 ‘피타고라스’로 이어진다고 필자는 믿고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양자강 문명이 인류의 시작이었다고 하더라도

수학이 특별히 그쪽에서-서양-만 발달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동양과 아프리카는 정말 ‘미개’했기 때문인지, 문화나 과학의 수준이 낮아서 그랬던 것인지…

어느 곳보다 수준 높은 정신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는 동양에서

과학 문명에 대한 영향력이 이렇게 낮은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온통 의문투성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