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
리영희, 임헌영 대담 / 한길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리영희 선생을 잘 알고 있는 사람과 잘 모르는 사람으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군요.

리영희 선생님을 잘 아는 분은 80년대를 청년으로 보냈거나, 진보적인 영역에 관심이 많은 분으로 봐도 큰 무리가 없을 것 같고,

리영희 선생님을 잘 모르는 분은 70년대 이후에 출생했거나, 진보적인 사회 활동에 관심이 적은 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조선시대의 양반, 또는 선비 가운데 유명한 인물을 기억하는 기준은 그의 저작물 때문입니다.

그가 쓴 글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기 때문이지요. 이퇴계, 이율곡, 기고봉, 정송강, 정다산 등이 모두 그러한 인물들입니다.

결국, 지식인은 그가 쓴 글로 평가를 받게 된다는 건데, 물론, 글은 곧 자기 세계관의 반영이자 실천의 이론적 토대인 만큼

그들이 말한 논리와 행동(실천)이 다르다면 그에 대한 비판도 혹독하게 받아야 했겠죠.

‘언행일치’가 지식인의 가장 큰 덕목이었던만큼, 글을 쓴다는 것은 엄격한 도덕률을 스스로에게 부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글을 써서 감옥에 몇 번씩 들어가야 했다면, 그 지식인은 당대의 역사를 가장 비판적이고 진보적으로 기록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리영희 선생님의 저작들을 읽으면 현대 한국 사회에서 지성인이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과 그 답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많은 지식인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서 지성인은 극히 드물죠.

지식인과 지성인의 개념 차이는 무엇인가? 사람에 따라 내리는 정의는 좀 다르겠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대체적으로 ‘자신의 전문 학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으로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는 수준의 학문적 성과를 이룬 사람’을 지식인으로 보고, 그러한 바탕을 가지고 ‘사회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행동하는 사람’을 지성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지식인이 얼마나 많습니까? 흔하고 널린 게 석사, 박사, 대학교수들입니다. 그리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또 얼마나 많습니까?

사회에 무슨 일이 발생하면 너도 나도 전문가연 하면서 언론을 통해 글을 쓰고, 말을 합니다.

하지만, 그들이 정작 군부 쿠데타나 군사 독재 시절에 어디에서 무엇을 했는지 살펴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지식인들은 그들의 속성-부르주아, 또는 쁘띠 브르주아, 룸펜-상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갖기가 매우 쉽습니다.

권력에는 한 없이 약하고, 돈(물질)과 명예 따위에 쉽게 현혹되며 자신의 관심분야 외에는 무책임한 태도를 갖기 쉽지요.

진정한 지성인의 표상이 된 리영희 선생은 자신을 중도 좌파라고 했습니다.

즉,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진보적인 역사에 기여하고자 했던 것이죠.

세월이 흘러, 리영희 선생이 쓴 글들이 오늘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게 되었지만, 그 빛은 바래지 않을 것입니다.

70년대부터 쓴 글들이 오늘날에도 상당히 많이 유효하며, 우리의 정신을 일깨우고 있으니 말입니다.

역사의 진실에 눈 뜨는 경험은 소경이 눈을 뜨는 것과 같은 말로 표헌하기 힘든 감동과 환희입니다.

리영희 선생의 글을 통해 우리들은 그런 경험을 했고, 그 경험을 토대로 80년대를 살아왔습니다.

앞으로 많은 시간이 흘러도 리영희 선생님의 삶과 저작은 우리에게 소중한 자산으로 남을 것을 확신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