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로스의 종말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10월
평점 :
우리는 할 수 없음을 부정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역시 에로스의 본질이 상실되고 벌거벗은 삶을 선택하면서 포르노그라피로 대체되게 되는데 이 포르노그라피의 본질은 비밀성이 전혀 없으며 상상력이 죽어 있는 상태이다. 포르노그라피는 사랑이 배제된 성애만 남아 끊임없이 소비되며 본질적인 존재의미는 퇴색된다. 지금의 사회는 본인을 노예화하여 끝없이 성과를 이뤄내는데 총력을 다한다. 이 곳은 할 수 없음을 부정하는 세계다. 우리는 뭐든지 할 수 있음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할 수 없음의 자체는 스스로의 무능력을 탓해야 한다. 이는 에로스의 종말을 고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요즘의 사회는 사랑을 하나의 가능성으로 본다. 나를 타자화할 수 없는 우리는 사랑에 빠진다는 의미가 에로스의 사랑이 아니라, 포르노의 사랑(?)으로 이해할 수 밖에 없다. 빅데이터가 움직이는 세계에는 가설과 논증할 만한 theme도 없다. 오직 관찰과 데이터 축적만이 세계를 이룬다. 당연히 우리는 꿈꾸지 않는 세계에 갇히는데 안심을 하게 되고 죽음을 상상 할 수도 없는, 오히려 통제되는 사회속에 갇혀 자유의 본질을 상실하고 만다. 죽음을 상상할 수 없는 우리는 무한한 안정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는 불안정하고 연속적이지 못한 곳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제를 일으켜 또다른 불안을 안겨주게 되고 노예근성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한병철이 지난 번에 쓴 시리즈와 일맥상통하는 이야기에 에로스를 주제로 자신의 사상을 좀더 구체화시킨 책이었다.
이 책을 보면서 메트릭스가 생각났다. 또, 요즘에 쿨하고 담백한 사랑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됐다. 나와 사랑에 빠진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싶었다. 보여지지 않은 나를 얼마나 사랑했냐고.
그리고 얼마나 내가 되고 싶었냐고. 그렇게 묻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