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태그 : []








 

‘화려한 휴가’라는 표현이

그 날의 광주와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이는

아마 별로 없을 것이다.

1980년 5월 18일, 그 날의 작전명 "화려한 휴가"

 

광주 5·18은 나에게는 언제나

제주 4·3과 함께 연상되는 사건이다.

국가에 의해 자행된 민간인 무차별 학살.

정치나 권력과는 상관없는 사람들이

빨갱이라는 이름으로 똑같이 매도되어 버리는

이 나라의 대표 불온색.

피를 상징하는 붉은 계열의 것들은 언제나 불편하다.

 

역사의 광풍 속에서

의지와 상관없이 흔들린 사람들의 삶은

얼마나 기구한 것인지, 나는 감히 상상하지 못한다.



불행(?)하지 않은 시대에 평화롭게 자라난

내 세대의 사람들에게 있어

5·18이나 4·3은

그저 숫자로 기억되는 지나간 역사일 뿐이다.

아무리 지금에 와서 모두가 다함께

명예회복을 진상규명을 외친다 하더라도,

‘나’라는 주체가 빠진 그저 ‘그들’의 이야기로 회자된다.

그래서 어쩌면 더 냉정하게 이야기할 수 있고,

어쩌면 더

영화의 멜로로 그들의 이야기를 덮어버리고 있는 건 아닌지.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그 전개가 답답하기만 했다.

영화관 곳곳에서 사람들은

눈물을 흘리고 훌쩍거리고 있었다.

그러나 자극적인 장면들에 이미 익숙해져버린 내 눈은

머리채를 휘어잡히고, 두드려 맞고,

사람들이 총에 맞아 쓰러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저건 영화잖아라는 안도를 만들어냈다.

역사를 영화로 소설로 어떤 작품으로 만들어낸다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이 영화에 공감하는 눈물을 흘리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나는


우리가 외면한 채 지나온 역사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이야기되어야 된다고 믿는다.

 

그 이야기하기라는 행위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든,

후세들에게 당시의 사건들을

그저 역사 속에서 흔히 일어나는 학살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

다시 그런 일이

또다시 아무렇지도 않게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야기는 계속 되어야 한다.

 

그들이 마지막까지 외친

“사랑하는 광주 시민 여러분! 우리를 기억해 주세요.

우리의 형제자매가 총에 맞아 피를 흘리고 있습니다.

우리들을 기억해 주세요.”처럼

그들을 기억하는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앞으로 우리의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만들어 나갈 것인가가 

 

결정지어질 것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