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론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0
존 스튜어트 밀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6월
평점 :
모태신앙이란 1세대가 아니라 물려받은 신앙이기에 쇠퇴하는 신앙.
그래서 “모든 사람이 신념을 받아들였을 때 그 신념은 쇠퇴하기 시작한다”는 것.
모든 기독교인들은 가난하고 겸손하며 세상으로부터 천대를 받는 사람들이 복 있는 사람이라고 믿는다. 낙타가 바늘 귀를 통과하는 것이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것보다 더 쉽다고 믿는다.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비판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다. 맹세 같은 것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이웃을 자기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고 믿는다. 누가 자신의 겉옷을 가져가면, 속옷도 벗어주어야 한다고 믿는다. 내일을 염려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자기가 가진 모든 것을 팔아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어야만 완전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들이 이런 것들을 믿는다고 말할 때, 그것은 거짓말이라고 할 수 없다. 사람들이 어떤 것을 옳다고 한결같이 칭찬하면, 그것이 왜 옳은 것인지를 들어본 적이 없어서, 그 이유나 근거를 알지 못해도, 사람들은 그것이 옳다는 것을 믿는 것처럼, 기독교인들은 신약성경에서 말하는 규범들을 그런 식으로 믿는다. 하지만 진정으로 살아 있는 믿음이 되기 위해서는 그 규범들이 그들의 행위를 규율해서, 그들이 그 규범들에 의거해서 실제로 행동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들은 살아 있는 믿음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그들은 자신들의 대적들을 공격하거나, 자신들이 칭찬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에 그 규범들을 사용한다. 반면에, 어떤 사람이 그 규범들을 그들에게 상기시켜주면서, 그들이 결코 행할 엄두를 낼 수조차 없는 수많은 행위들을 그들에게 행하라고 말하면, 그들은 그 사람이 마치 자기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착한 것처럼 위선을 떠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정말 정나미가 떨어지는 상종못할 사람으로 치부해버린다.
-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하지만 우리는 초기 기독교인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고, 이런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을 것이라고 단언해도 좋을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기독교는 세상으로부터 멸시받았던 유대교의 한 무명의 종파에서 로마 제국의 국교로 도약하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독교를 반대한 사람들조차도 "이 기독교인들이 얼마나 서로를 사랑하는지를 보라"고 말한 것을 보면(오늘날에는 아무도 이런 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후의 그 어떤 기독교인들보다도 자신들이 믿는 신앙의 의미를 훨씬 더 생생하게 느끼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기독교가 1,800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에 있어서 그 세력을 더 이상 확장해 나가지를 못하고서, 여전히 거의 유럽인들과 유럽인들의 후손들에게만 국한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보여주었던 그런 모습을 상실했기 때문일 것이다. 심지어 기독교의 교리들을 일반 신자들보다 훨씬 더 진지하게 믿고, 그 교리들 중 많은 것들에 상당히 큰 의미를 부여하여 엄격하게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그들의 지성 속에서 그런 식으로 비교적 활발하게 움직여서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설은 칼뱅Calvin이나 녹스Knox,19 또는 그들 자신의 품성이나 성향과 비슷한 점이 많은 어떤 인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교설일 뿐이다. 반면에, 그리스도의 교훈들은 그들의 지성 속에 수동적으로 공존해서, 아주 기분좋고 상쾌한 말들을 들었을 때 같은 효과만을 낼 뿐이고, 그 이상의 효과를 그들에게서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이때부터는 그 지지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의지와 의사로 그 교설을 받아들인 사람들이 아니라, 선대로부터 대물림 받은 사람들이다. 하나의 교설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다른 교설로 전향하거나 개종하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제1세대가 그랬던 것과는 달리 세상과 맞서서 그들 자신을 변호하거나 세상을 그들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끊임없이 애쓰는 대신에 조용히 뒤로 물러나서, 자신들이 지지하는 교설을 반박하는 주장이나 논거들을 될 수 있는 한 귀 기울여 듣지도 않고, 반대자들에 맞서 치열한 논쟁을 벌이는 번거로움도 피하려고 한다. 통상적으로 이때가 그 교설의 생명력이 쇠퇴하기 시작한 때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어떤 신념을 받아들이는 순간, 그 신념은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죽게 되게 된다는 것이 정말인가? 어떤 명제에 대한 의심이 여전히 존재해야만, 그 명제를 철저하게 이해하고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정말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