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637858?rc=N&ntype=RANKING

돈이 많은 사람이 책을 읽는 건지, 책을 읽어서 돈을 많이 버는 건지는 모르겠다.

뭐가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여유가 있어야 독서도 한다는 것처럼 보인다. 돈이든 시간이든 에너지든 뭐든.

이토록 풍요로운 정보의 시대, 사람들은 오히려 책에서 멀어진다.

왜일까?

매체의 다양성의 문제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대중을 이끄는 매체는 책에서 라디오, tv, 인터넷으로 바뀌어가는 중인 것이다.

본디 책은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다 적어서 만드는 것이었다. 지금도 우리가 하는 필사가 예전에는 책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었다는 소리지.

손으로 적어야만 책을 만들 수 있는 세상을 생각해보면, 왜 글을 읽는 게 귀족의 특권이었으며 책을 제작보관하는 게 수도원의 주요 임무였음을 알 수 있다.

1450년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이후로 책은 대중매체가 되었으며 그와 함께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도 늘어나고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책이 여러 권 발견된다.

이후 라디오가 나오기 전까지 책은 주요 정보 전달 매체로서의 지위를 유지한다. 그리고 그 지위는 tv, 인터넷으로 넘어간 것이다.

하지만 지금도 공부할 때는 책을 펴고 한다. 인터넷 강의를 들어도 결국 책을 펴야 공부를 할 수 있다. 왜일까? 적는다는 행위는 인간의 지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은 그 근본부터가 종이에 적은 것이다.

결국 학습은 필사를 수반해야만 한다는 게 나의 지론이다(내 학습법이기도 하다). 대중을 이끄는 매체는 인터넷이고, 나 또한 태블릿으로 책을 보긴 하지만, 결국 어떤 정보를 갈무리하기 위해서는 종이든 컴퓨터 메모장에든 글이나 그림을 적어야 한다. 즉 나만의 책을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곧 정보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