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과 바다』는  쉽고, 편하다.

 

쉽다는 건 독해 면에서 그러하다. 어려운 단어가 없다. 문장은 마치 아이에게 들려주듯 친절하고, 플롯은 길을 잃을 염려가 없이 단순하다. 그래서 어휘가 주는 의미보다 이야기가 주는 의미에 더 몰입할 수 있었다.

 

 편하다는 건 분위기가 그러하다. 소년은 노인을 다정히 보살피고, 노인은 소년을 조심스레 대한다. 젊은 어부들은 놀리기도 하지만, 나이든 어부들은 걱정해 주고, 마르틴은 음식을 준다. 작은 어촌의 순박한 환경이 거기 있다. 게다가 감정표현, (아이를 믿음직스럽고 다정하게 바라본다거나, 제비갈매기를 가엾게 생각한다거나, 고기가 몰리기 때문에 기분이 좋다거나) 배배 꼬이지 않고 단순하게 표현되는 감정은 일부러 노력하지 않는 한 독자의 머리를 아프게 만들지 않는다. 노인이 고난을 대하는 태도 역시 그렇다. 거기에는 다툼이 없다.

 

마치 동화 같았다. 노인과 바다를 읽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그것이었다. 쉽고, 편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꿈을 꾸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 노인이 꾸는 사자의 꿈도 그렇고, 모든 사물 심지어 다친 손이나 하늘의 달별해에게까지 인격을 부여하여 말을 건네는 행동도 그렇고, 특히 허풍인지 진실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 팔씨름 이야기가 그렇다. 24시간 동안 계속했다는 팔씨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순간 거대한 청새치를 잡은 것도 허풍이 아닐까라는 의심을 잠시 했다. 의심을 접은 것은 소년의 신뢰를 배신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렇잖은가. ‘노인이란 그런 의심이 가능케 만든다.

 

바로 그 노인이 여태 누구도 본 적이 없는 크기의 청새치를 잡아서 끌고 온다. 가시밖에 남지 않은 청새치를 보면 그가 겪은 혹독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불굴의 의지와 같은 거창한 말로 수식하는 건 어울리지 않는다. 그는 긴 세월 동안 생활로 굳어진 일을 숙명처럼 묵묵히 해낸 것이리라. 숙명은 때로 굴레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통과하기란 녹록치 않다. 그것을 알아주는 소년이 있었기에 노인이 소요한 세월은 무가치하지 않은 것이 된다. 소년에게서 위로를 받는 건 비단 노인만은 아닐 것이다.

 

아버지라 하면 보통 등을 연상하지만, 나는 아버지의 두 다리를 떠올린다. 집에 오면 무협소설을 읽는 것이 낙인 아버지의 다리는 앙상하다. 고된 일에 다치고 흉터진 맨살이 고스란히 드러난 두 다리는, 묵묵히 걸어온 아버지의 긴 세월을 보여 준다. 노인의 햇볕에 탄 반점이나 손의 묵은 상처처럼, 또는 디마지오의 발뒤꿈치에 생기는 뼈돌기처럼. 교훈적인 면면은 동화같다는 인상을 한층 강하게 만들어 주지만, 그것은 어쩌면 각박한 현대에 내가 살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작품을 한 단어로 정의하라면 아마도 옛날이야기라고 하겠다. 지금은 자취가 없는 할머니가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이야기 같다고, 노인의 혼잣말은 마치 추임새 같아서, 내내 자장가를 듣는 듯했다고. 또는 연애편지라고도 하겠다. 노인이 세상에 건네는 말들은 달콤한 밀어 같아서 달이 영향을 미칠 때에도 바다가 아름다워 보였노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폭력 대화 - 일상에서 쓰는 평화의 언어, 삶의 언어
마셜 로젠버그 지음, 캐서린 한 옮김 / 한국NVC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말이란 결국 느린 말이다. 느린 말이라 해도 방법을 모르면 느린 말에 그치겠지만, 비폭력대화=공감대화는 느린 말을 좋은 말로 업그레이드시켜 준다. 좋은 의도로 한 말이라 해도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걸 반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흰 개
로맹 가리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인종차별을 쉽게 상징화한 `개`와 그 개를 지켜보는 저자의 쉽지 않은 시선이 교차한다. 교육이란 조련과 무엇이 다른가, 역사와 함께 흐른 증오는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가, 목적과 수단의 구분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격조 높은 문장과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필사 - 나를 다시 꿈꾸게 하는 명시 따라 쓰기 손으로 생각하기 1
고두현 지음 / 토트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사를 처음 시도해보는 사람에게 좋은 책이다.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편한 책이기도 하다. 중간중간 사진도 좋고, 서문마저도 따뜻한 시인이 추천하는 필사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 위화, 열 개의 단어로 중국을 말하다
위화 지음, 김태성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ade in China’

위 글자가 새겨진 라벨을 보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단어들이 있다. 가짜, 저렴, 불량, 비위생, 불신 등 결코 호감을 주는 단어는 아니다. 그러한 단어들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자연적으로 Chinese로 옮겨간다.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사람에게 가서 달라붙는 것이다. 문제는 China. 얕보기 딱 좋은 구성원으로 이루어졌으면서 국가만이 상반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 괴리감이 중국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든다.

 

차라리 과거의 중국은 이해하기 쉽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문명을 자랑했던 만큼 중국을 거치지 않으면 역사를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위상이 빛났다. 그러나 현재의 중국은 마치 역사가 끊어진 것처럼 과거의 중국과 괴리감이 느껴진다.

 

위화의 책,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는 바로 그 괴리감의 정체를 알려준다. 상충된 이미지가 충돌하는 China를 사람이 사는 나라로 이해시키는 책이랄 수 있다. 목차 중 루쉰을 경계로 초반에는 저자의 삶을 보여주면서 중국을 이야기하고, 후반에는 중국을 보여주면서 저자의 삶을 이야기한다. 책을 읽다 보면 막연하게 중국은 이렇고 중국인은 저렇다, 하던 고정관념이 점차 깨지면서 그곳 역시 사람이 사는 곳임을 이해하게 된다.

 

정치권력의 재분배와 경제권력의 재분배는 한국 역시 겪었던 일이고, 부조리한 현실은 중국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뿐 누가 더 낫다고 말할 처지도 아니다. 극단적인 빈부차는 이미 가장 글로벌한 현상이다. 이쯤 되면 중국이라고 다를 것도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de in China’는 여전히 강력한 이미지를 선사한다. 그것은 이미 중국만의 개성이라고 불러야 할 산채홀유때문이다. ‘산채는 표절과 모방이라는 뜻으로 짝퉁 명품, 거짓뉴스 등을 퍼트렸고, ‘산채는 장난기를 동반한 사기라는 뜻으로 금전적, 제도적 사기행위가 만연하는 걸 도왔다. 결국 ‘made in China’의 이미지는 현재 중국 사회를 가장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말인 셈이다.

 

저자는 루쉰이 작가에서 단어로, 다시 단어에서 작가로 의미가 부여되면서 중국 사회의 격동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적어도 그때는 작가라는 문화를 대표하는 사람이 중국을 대표했는데, 지금은 사물도 아니고 상품의 생산지를 드러내는 말이 중국 사회를 대표하는 이미지라는 것이 씁쓸하다.

 

  그러나 요즘 중국을 보면 그 말도 옛 이미지가 될 것 같다. 중국은 태동하고 있다.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도 하다. 중국이라는 나라를 '메이드 인 차이나'에서 머물지 않고 제대로 들여다보기 위한 입문서로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