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무엇을 잘할 수 있는가 - 내 안의 강점발견법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지음 / 고즈윈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삼십대의 자기계발서로는 훌륭하나 `강점 찾기`라는 방향에 공감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각 사례에는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에세이로서의 가치가 의외로 높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o am I? - 나는 내가 만든다
정창현.안광복.한채영.강동길.최원호 지음 / 사계절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생들이 자신을 관찰하기 좋은 책. 얇고 쉬우나, 콘텐츠보다 과제 분량이 더 많아서 재미는 부족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나는 디베이트 - 황샘의 토의.토론 학습코칭
황연성 지음 / 이비락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베이트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책. 예시도 자세하고 교사의 실용서로도 좋다. 다만 문장을 어렵게 써서 쉽게 읽히지는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폭력 대화 - 일상에서 쓰는 평화의 언어, 삶의 언어
마셜 로젠버그 지음, 캐서린 한 옮김 / 한국NVC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말이란 결국 느린 말이다. 느린 말이라 해도 방법을 모르면 느린 말에 그치겠지만, 비폭력대화=공감대화는 느린 말을 좋은 말로 업그레이드시켜 준다. 좋은 의도로 한 말이라 해도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걸 반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 위화, 열 개의 단어로 중국을 말하다
위화 지음, 김태성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ade in China’

위 글자가 새겨진 라벨을 보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단어들이 있다. 가짜, 저렴, 불량, 비위생, 불신 등 결코 호감을 주는 단어는 아니다. 그러한 단어들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자연적으로 Chinese로 옮겨간다.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사람에게 가서 달라붙는 것이다. 문제는 China. 얕보기 딱 좋은 구성원으로 이루어졌으면서 국가만이 상반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 괴리감이 중국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든다.

 

차라리 과거의 중국은 이해하기 쉽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문명을 자랑했던 만큼 중국을 거치지 않으면 역사를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위상이 빛났다. 그러나 현재의 중국은 마치 역사가 끊어진 것처럼 과거의 중국과 괴리감이 느껴진다.

 

위화의 책,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는 바로 그 괴리감의 정체를 알려준다. 상충된 이미지가 충돌하는 China를 사람이 사는 나라로 이해시키는 책이랄 수 있다. 목차 중 루쉰을 경계로 초반에는 저자의 삶을 보여주면서 중국을 이야기하고, 후반에는 중국을 보여주면서 저자의 삶을 이야기한다. 책을 읽다 보면 막연하게 중국은 이렇고 중국인은 저렇다, 하던 고정관념이 점차 깨지면서 그곳 역시 사람이 사는 곳임을 이해하게 된다.

 

정치권력의 재분배와 경제권력의 재분배는 한국 역시 겪었던 일이고, 부조리한 현실은 중국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뿐 누가 더 낫다고 말할 처지도 아니다. 극단적인 빈부차는 이미 가장 글로벌한 현상이다. 이쯤 되면 중국이라고 다를 것도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de in China’는 여전히 강력한 이미지를 선사한다. 그것은 이미 중국만의 개성이라고 불러야 할 산채홀유때문이다. ‘산채는 표절과 모방이라는 뜻으로 짝퉁 명품, 거짓뉴스 등을 퍼트렸고, ‘산채는 장난기를 동반한 사기라는 뜻으로 금전적, 제도적 사기행위가 만연하는 걸 도왔다. 결국 ‘made in China’의 이미지는 현재 중국 사회를 가장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말인 셈이다.

 

저자는 루쉰이 작가에서 단어로, 다시 단어에서 작가로 의미가 부여되면서 중국 사회의 격동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적어도 그때는 작가라는 문화를 대표하는 사람이 중국을 대표했는데, 지금은 사물도 아니고 상품의 생산지를 드러내는 말이 중국 사회를 대표하는 이미지라는 것이 씁쓸하다.

 

  그러나 요즘 중국을 보면 그 말도 옛 이미지가 될 것 같다. 중국은 태동하고 있다.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도 하다. 중국이라는 나라를 '메이드 인 차이나'에서 머물지 않고 제대로 들여다보기 위한 입문서로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