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 - 책 싫어하는 아이도 빠져드는 책 모임 이야기
박미정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과 가장 어울리는 용언은 '읽다'일 것이다. (물론 '쓰다'라고 생각하시는 작가분들도 계시겠지만) 일반 대중들에게 있어 책은 '읽을 대상'이다. 그러나 박미정 선생님과 학생들은 '책'을 모임의 중심에 두고 대화의 장으로 삼는다. 저자 박미정 선생님은 이미 두 자녀와 함께 책 모임한 이야기를 엮은 책을 낸 경력이 있으신, 독서 교육에 일가견이 있는 초등교사이다.


단순히 같은 책을 읽고 느낀 점을 나누는 모임이 아닌, 책을 통해 서로를 독자로서 존중하고, 안전한 공동체 안에서 소속감과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있다. 이러한 책 모임을 위해 교사의 자세가 무척 중요할 것이다. 일관성 있는 태도로 학생들과 함께 하고, 일정한 시간을 확보하여 꾸준히 모일 수 있도록 기꺼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무엇보다 학생들과 정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책 모임을 하기로 한 날, 진도가 밀려서, 업무가 바빠서 다음으로 미뤄버리면 학생들 역시 책 모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책 모임은 학습과 생활 지도를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표 능력과 경청하는 습관을 길러준다. 대화식 토론 수업을 촉진하여 모든 학생의 포괄성을 보장하고, 학생 뿐 아니라 교사의 개인적 성장에도 기여한다. 책에 담긴 격려 메시지는 따뜻함과 지지를 전달한다. 내가 한 말이 평가받는게 아니라 누군가에게 지지받고 존중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나의 발언이 다른 사람에게 또다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지는 곳이 책 모임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은 체육도 아닌 국어 시간을 기다리고, 제일 좋아하는 시간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것 아닐까.


저자가 오랜 시간 학생들과 이끌어 온 책 모임을 온전히 따라할 수는 없겠지만, 1장부터 6장까지 쓰신 글을 통해 따라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실천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특히 부록으로 알려주신 추천 도서 목록과 책 대화를 돕는 도구가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