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살인사건 피해자의 유족이라면….' 이라는 결코 생각하기도 싫은 상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딸이, 혹은 사랑하는 가족이 누군가에 의해서 죽게 된다면 난 도대체 뭘 할 수 있을까?! -결코 짐작할 수 없겠지만- 고통과 슬픔으로 그냥 쓰러지지 않는다면, 분노와 복수라는 이름으로 살인자를 잡아 내 손으로 죽여 버리고 싶지 않을까. 실제로 행동으로 옮겨서 그렇게 하더라도 결국에는 내가 살인자라는 이름의 또 다른 피의자가 되는 것이기에 현실은 나를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지는 않을 것이다. 아니면, 살인자에게 -함무라비 법전에서 이야기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를 적용해서- 법적으로 사형에 처해질 수 있도록 한다면 그나마 작은 위로라도 되는 것일까?! 에휴… 이런저런 생각들을 해보지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어떻게 한다고 하더라도 피해자가 다시 살아 돌아오지는 못하니까 말이다.

 

 

『공허한 십자가』는 중학교 2학년인 '사오리'와 한 학년 위인 '후미야'의 풋풋한 사랑을 알리면서 이야기의 문을 연다. …시간이 흘러, 반려동물의 장례를 치러주는 일을 하는 '나카하라'는 전 부인인 '사요코'가 살인사건의 피해자가 된 사실을 알게 된다. 이미 이혼한 사이기이에 직접적인 피해자의 유족은 아니지만, 이미 피해자의 유족이었던 자신의 과거가 떠오르게 된다. 11년 전, 초등학교 2학년이었던 자신의 딸이 살해당했던 사건. 여전히 그 아픔을 간직한 채-보다 정확하게는 완벽하게 떨쳐버릴 수 없었던, 아니 결코 지울 수 없는 아픔일 것이다- 살아가던 나카하라는 같은 고통을 겪었던 사요코가 다시 피해자가 되었다는 사실에 우울함을 느낀다. 같은 아픔을 겪은 뒤 자신과 헤어져있었던 시간 동안 사요코의 삶은 어땠을까 싶어 그녀의 흔적을 조금씩 들여다보던 나카하라는 수사과정에서 수상한 부분을 이야기했던 형사와 같은 의문을 품게 되고, 그 의문 속에 담긴 또 다른 중요한 사실들을 하나둘씩 알게 된다.

 

 

'나카하라'와 '사요코'는 딸의 사건을 계기로 살인자는 반드시 사형에 처해져야 한다고 주장-엄밀히 말해서 오랜 시간 슬픔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상태이지만, 꾸준히 그런 아픔을 누군가와 함께하고 깊은 고민을 해온 사요코의 주장이라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만…-하게 된다. 그리고 그 사형이라는 판결은 끝이 아닌 피해자의 유족들이 통과해야할 하나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러다보니 그들은 자연스레 사형 폐지론에 반대하게 된다. 사형이라는 것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그것이 유족들에 대한 최소한의 위로가 아닌가 하고 말이다. 나 역시 소설을 읽다가 어느 정도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내가 유족이라도 그러할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소설은 사요코의 생각대로 사형 폐지론의 반대에 그대로 머물러 있을 줄 알았으나 그 반대의 생각들 혹은 조금씩 다른 생각들이 고스란히 전해지면서 나를 또 다른 혼란(?!) 속으로 밀어 넣었다.

 

 

쉽게 정리하자면 이런 것이 아닐까. 사형 폐지론의 입장에서는 죄를 짓지 않았으나 사형을 선고받은 억울한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며 결국에는 사람이 사람을-그것이 설령 살인자라 할지라도- 죽이게 되는 모순적인 상황이니까 사형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의 입장에서는 유기 혹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살인자가 여전히 숨 쉬며 살아간다는 사실은 피해자의 유족들에게는 끝까지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남는 것이기도 하며, 사형으로 인해서 동일한 피의자가 저지르는 이전과 같은 사고의 재발도 방지되는 것이기에 사형 제도는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풀기 힘든 논란거리이다. 게다가 여기에서는 소설의 제목 그대로 공허한 십자가를 이야기하게 되면서 좀 더 복잡해지게 된다. 죄를 짓고 사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피의자가 아무런 반성도 없이 공허한 십자가만을 짊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혹은 반대로 스스로 끝없는 반성으로 평생 십자가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살인자에게도 반드시 사형을 선고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그 판단은 누가 또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은 이 모든 생각들은 소설 속에서도 그 마지막을 명확히 하지 않는다. 그저 그에 따른 판단을 독자들에게 고스란히 넘길 뿐이다.

 

 

그동안 읽어왔던 추리 소설의 구조가 그러하듯 이 소설 역시 프롤로그에 나온 인물들과 지금 시점의 어떤 사건과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 모든 문제를 풀어나가는 가장 큰 핵심이 된다. 처음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읽었던 터라 사오리와 후미야, 나카하라와 사요코의 관계는 어디서 그 접점을 찾을 수 있을까 궁금할 수밖에 없었다. 덕분에 끝까지 지루할 틈도 없이 계속 읽어나갔다. 평소, 쉬지 않고 계속해서 페이지를 넘기게 되는 힘이 소설의 가장 기본이 아닐까 생각했었다. 아무리 훌륭한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읽기 지루하면, 그래서 도중에 포기하고 말면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리니까 말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구나!' 라는 말이 절로 나올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공허한 십자가』가 속도감 있게 페이지만 술술 넘어가게 만드는 소설의 기본(?! 혹은 즐거움?!)만 있는 소설이냐고 하면 결코 그렇지 않다. 개인적으로 막힘없이 술술 읽어나갈 수 있으면서도 그 속에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서 나름의 메시지가 담겨있는 스타일의 소설을 좋아하는데, 이 소설이 바로 그랬다. 더군다나 『공허한 십자가』는 그 메시지를 어떤 확고함 위에서 독자들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들을 제시하고 독자들로 하여금 그만큼의 다양한 생각을 해볼 수 있게 해줬다는 사실에 더 높게 평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많은 상황과 이야기들이 지금의 나를 혼란이라는 고통(?!) 속으로 밀어 넣었지만, 그럼에도 전혀 후회되지 않는 『공허한 십자가』와 함께한 시간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