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와 64년에 D현에서 일어난 소녀 유괴 살해 사건의 비밀, 

그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

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경찰 내부의 대립,

공소시효 1년 전에 반복되는 모방범죄,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64』를 읽기에 앞서 얻을 수 있었던 정보는 대략 이런 것이었다. 이 중에서도, “2013년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라는 타이틀의 함정(?!)에 이미 빠져버려서 그랬던 것인지, ‘공소시효 1년을 남겨둔 시점에 발생되는 모방범죄’에 모든 것이 집중되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하지만 예상외(?!)의 이야기 흐름에 살짝 당황했다. 그저 어떤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그냥 보통의 미스터리라 생각했는데,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었으니까 말이다. 물론 “2013년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2013년 ‘서점 대상’ 2위” 라는 타이틀이 그러하듯 그 이상의 뭔가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는 했지만……. 신기하게도 예상했던 이야기가 아니라서, 그래서 당연하게도 뻔하지 않아서 오히려 호기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었고, 그 결과는 큰 놀라움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최근 몇 년 간 매년마다 수십 권의 책들을 읽었지만 그 중에서 별 다섯 개 만점을 줄만한 책은 손에 꼽힐 정도로 만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 그런 책을 올해 반이 지나기도 전에 벌써 만났다는 생각에 커다란 즐거움을 던져준 책이 바로 『64』라는 것이다.

 

‘64.’ 14년 전 ‘아마미야 쇼코 유괴 살인사건’을 가리키는 기호로, D현경 관내에서 처음 일어난 강력 범죄사건이었다. 몸값 2천만 엔을 고스란히 빼앗겼고, 납치된 일곱 살배기 소녀는 참혹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아직 범인은 붙잡히지 않았다.

 

7일 만에 막을 내린 쇼와 64년은 새로 찾아온 헤이세이에 밀려 흔적도 없이 사라진 신기루 같은 해였다. 하지만 분명히 존재했다. 범인은 그 쇼와 마지막 해에 일곱 살 소녀를 유괴, 살해한 뒤 헤이세이의 새로운 세상으로 유유히 사라졌다. 64는 맹세와 다짐은 기호였다.

 

『64』는 '미카미'를 중심으로 모든 이야기가 진행된다. D현 경찰청의 홍보담당관으로 일하고 있는 '미카미'는 자신과 닮은 모습에 경멸을 느끼고 급기야 가출까지 하게 된 딸을 찾고 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일을 소홀히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일이라도 잘 풀려주면 좋으련만, 어느 중상해 교통사고의 가해자가 임신부라는 이유로 익명 발표로 한다는 상부의 결정으로 인해서 홍보실 출입기자들과 마찰을 빚게 된다. 이 와중에 공소시효를 1년 남긴 64(육사) 사건을 빌미로(?!) 경찰청장의 시찰이 예정되고, 미카미는 피해자 가족 위문 방문을 원하는 청장의 뜻에 따라 유족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입장에 놓이게 된다. 

 

지금 이 순간! 사표를 내고 싶다.

나를 장기 알처럼 멋대로 휘두르는 상사에게 한방 먹이고 싶다.

회사와 상사가 내가 얼마나 능력 있는 사람인지 몰라준다.

비리와 부조리가 가득한 이 세상을 뒤엎어버리고 싶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 정의를 지키면 손해 보는 것 같다.

절대 잃고 싶지 않은 소중한 사람이 있다.

경찰이나 기자를 꿈꿨던 적이 있다.

언론에서 발표하는 일들에 대해 의심을 품어본 적이 있다.

조지 오웰의 1984를 '천구백팔십사'라고 읽는 것보다 '일구팔사'로 읽는 것이 좋다.

4나 6, 혹은 46, 64라는 숫자를 좋아한다.

 

 이 책이 출간되기도 전에 ‘소설 『64』와 함께하는 64명의 홍보담당관 모집’ 글을 보게 되었다. 그 글에는 위와 같은 조건들을 제시하면서, ‘이 조건에 한 가지라도 해당된다면 당신은 64홍보담당관이 될 자격이 충분한 사람입니다.’라는 내용이 함께 있었다. 단순히 재미로 넣은 것 같은 문구도 있었지만, 그때는 미스터리 장르인데 왜 사표가 나오고, 왜 뜬금없이 회사와 상사 관련 이야기가 나오나 싶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별생각 없이 그저 뭔가 있겠지, 하고 나에게 해당되는 사항이 몇 개나 있는지 체크하고 그냥 넘어갔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다 나름의 이유가 있었구나 싶다. 심지어 ‘홍보담당관’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부터….

 

 그렇다. 『64』는 앞서 살짝 언급했듯이 단순히 미스터리 부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은 소설이다. 미스터리한 부분도 있지만, 그 속에 경찰청 내부의 미묘한 신경전부터 그 사이에 끼어 어쩌지 못하는 상황들 및 조직생활의 온갖 치부들이 고스란히 드러나기도 한다. 중요한 사실은 단순히 경찰뿐만 아니라 직장생활을 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느낄법한 다양한 심경들을 옮겨 놓았다는 것이다. 그로인해 경찰 소설이지만 경찰이라는 조직에서 그치는 것만이 아닌 보다 확장된 주제의 소설로 만들어 버리기도 한다. 거기에 누구나가 겪을 수 있는 가정의 문제까지 더해서 어떤 선택도 결코 쉽지 않게 만드는 효과까지 만들어 낸다. 다양한 이야기들이 정교하게 맞물려 있어서 이것을 단순히 몇 줄의 줄거리로 정리한다는 것조차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사실은 작가의 집필기간만 10년이라는 사실에 미루어 보면 더더욱 그러하리라는 것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평소 내가 생각하는 나라면, 이런 종류의 이야기-미스터리적 요소를 드러내기보다 오히려 경찰 조직 내의 상황에 초점이 맞춰진 이야기-에 그저 지루하다고 느끼고, 몇 번이나 책 읽기는 멈춰야 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러기는커녕 오히려 뭔가 점점 더 궁금해지고, 빨리 다음 이야기를 듣고 싶고 싶어 잠이 자동으로 줄어 들 수밖에 없었다. 이런 놀라운 순간(?!)은 순전히 ‘요코야마 히데오’의 힘이 아니었나 싶다. 12년의 베테랑 기자 출신이라는 사실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으레 기자라는 직업이라면 가지고 있을 것만 같은, 진실을 향한 강한 집념과 사회 부조리에 대한 고발정신 등을 바탕에 두고 인간이라는 존재 가치, 그 존재의 의미에 대해 긍정적인 따뜻함을 담아 표현해낸 작품이라서 나에게도 그런 좋은 느낌이 고스란히 전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안타까운 이야기에 짜증도 내고, 화를 내기도 하면서, 때로는 어쩔 수 없는 딜레마에서 나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에 한없이 심각하게 나만의 생각에 빠져 있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감추어진 비밀들을 한 겹씩 벗겨내는 재미가 더해져서 페이지가 줄어드는 것이 아쉬울 정도였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받았던 좋은 느낌들을 고스란히 표현하지 못하는 아쉬움과 책에 담긴 많은 세세한 이야기들을 제대로 언급하지 못하는 아쉬움은 직접 이 책을 읽어보라는 추천으로 대신해야 할 것 같다. 작가 자신 스스로 '나 자신의 인생을 집대성한 작품',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퇴고를 거친 끝에 드디어 자신 있게 선보일 수 있는 작품을 써냈다'며 드러낸 자신감에 나 역시 감히 그의 자신감이 충분히 일리 있는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작품, 『64』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